브라질, 60일간 한국에 닭고기 수출 중단지난해 한국 냉동닭 수입 88% 브라질산타격 불가피 … 순살 치킨값 오를까 불안
  • ▲ 16일(현지시간) 드론을 이용해 촬영된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주(州) 양계 시설. ⓒ연합뉴스
    ▲ 16일(현지시간) 드론을 이용해 촬영된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주(州) 양계 시설. ⓒ연합뉴스
    전 세계 최대 가금류 수출국인 브라질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발생으로 한국에 60일간 닭고기 수출을 중단하기로 했다. 국내 냉동 닭고기 시장 수입량 대부분을 브라질산에 의존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브라질 농림축산부는 16일(현지시간) 히우그란지두술주 몬치네그루 지역의 한 상업용 양계장에서 HPAI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닭고기 세계 1위 수출국이자 2위 생산국인 브라질의 상업용 양계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농무부 자료에 따르면 브라질은 전 세계 닭고기 생산량의 14%를 차지하는 주요 가금류 수출국이다. 지난해 수출액만 100억 달러(약 14조원)에 달한다. 특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한 히우그란지두술주는 브라질 닭고기 생산량 60%가 집중된 지역이다.

    브라질 농림축산부 장관은 별도 발표를 통해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등의 경우) 한국, 중국, 유럽연합(EU)에 대해 60일간 닭고기 수출 금지 조처를 해야 한다는 프로토콜이 있다"며 "우리는 해당 국가의 통지를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주요 생산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면서 브라질산 닭고기와 달걀을 대거 수입하는 세계 주요국 식탁 물가에도 비상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60일간 브라질산 가금류 수입을 중단하기로 했다. 달걀 수급 문제로 브라질산 달걀 수입량을 전년의 10배 이상 늘린 미국도 타격이 예상된다.

    국내 냉동 닭고기 시장 수입량 대부분을 브라질산에 의존하는 한국도 대체 수입처 확보에 나서야 할 전망이다. 한국은 냉동닭고기의 전체 수입량 대부분을 브라질산에서 의존하고 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전체 닭고기 수입량 5만1147t 중 88%에 달하는 4만5211t을 브라질에서 들여왔다. 전체 수입량의 90%에 달하는 공급이 일시에 끊기는 만큼 대체 수입처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냉동닭고기 수입이 일시적으로 막히면 국내 소비자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국내 치킨업계에서 사용하는 닭(뼈있는 치킨)은 대부분 국내산이지만, 닭강정 등 순살은 브라질산 닭 의존도가 높다. 현재도 순살, 콤보 치킨용 닭은 조류 인풀루엔자 확진과 이상 기온으로 수급이 불안한 상태다.

    다만 브라질 농림축산부는 닭고기 금수 조처에 대해 "불가피한 것"이라면서도 "60일 전에 수출 중단을 종료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지인) 히우그란지두술에만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