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상위 10개사중 6곳 공급계약 정정고시 '총 26건'계약금액 12.1조→16.9조…현대·GS건설 각각 6건 증액평균 원가율 90.2%·미수금 증가…"공사비 올려도 본전"
  • ▲ 재건축 공사현장. ⓒ뉴데일리DB
    ▲ 재건축 공사현장. ⓒ뉴데일리DB
    철근을 비롯한 원자재값이 연일 상승하면서 건설사들이 공사비 증액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원가율 상승에 따른 수익성 난조가 이어지자 기존에 체결한 계약액을 상향조정해 마진을 개선하려는 전략이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살펴본 결과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 건설사중 6곳에서 지난 1월부터 현재까지 총 26건의 단일판매·공급계약체결건에 대해 계약금을 상향해 재공시했다. 

    변경된 계약액은 총 16조9299억원으로 기존 12조1447억원 대비 4조7852억원(39.4%) 증가했다. 이는 전년 같은기간 건설사 4곳에서 4231억원 증액한 것과 비교하면 10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올해 계약액 변경건수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현대건설과 GS건설로 각각 6건이 증액됐다. 

    현대건설은 △필리핀 South Commuter Railway Project 공사 △시화 MTV 반달섬 C1-1BL 생활숙박시설 신축공사 △광명제11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대조제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등에서 공사비가 전년 3조812억원에서 6조6448억원으로 늘어 3조5636억원(115.6%) 급증했다.

    GS건설 경우 △능곡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광명 제12R구역 주택재개발사업 △청주 사직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등에서 공사비가 인상됐다. 인상된 총 공사비는 4조263억원으로 전년동기 2조9543억원 대비 1조720억원(36.3%) 늘었다.

    특히 이들의 공사비 증액은 3월과 4월에 집중됐다. 공사비가 증액된 총 26건 가운데 해당기간에 공사비가 오른 사업지는 △반포아파트(제3주구) 주택재건축정비사업 △광명제11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대조제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인천 용현학익 1-공동6BL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사업공사 △서초 신동아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등 총 15곳이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잇따라 공사비 증액에 나선 배경에는 자재값 상승에 따른 사업수익률 부진이 있다. 건설산업연구원이 산출한 건설공사비지수 추이를 보면 지난 3월 건설공사비 지수는 131.23으로 공사비용이 급증하기 전인 2020년 11월 100.97과 비교하면 30% 가까이 늘었다.
  • ▲ 서울 한 아파트 공사현장.ⓒ뉴데일리DB
    ▲ 서울 한 아파트 공사현장.ⓒ뉴데일리DB
    가파르게 늘어난 미청구공사, 원가율도 건설사들이 공사비 증액에 나서는 이유로 꼽힌다.

    올해 1분기 공사미수금이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난 건설사는 8곳이다. 건설사별 공사미수금 증가액을 살펴보면 △현대건설 3280억원 △대우건설 1941억원 △현대엔지니어링 1168억원 △DL이앤씨 697억원 △GS건설 1076억원 △포스코이앤씨 2137억원 △롯데건설 533억원 △HDC현대산업개발 999억원 등이다.

    공사미수금은 건설사가 공사를 수행하고 청구서를 발행했지만 아직 대금을 받지 못한 금액을 의미한다. 공사미수금이 늘어나면 자금이 실제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건설사의 자금 운용에 부담이 커지고 재무건전성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주요건설사 평균 매출원가율 경우 지난 1분기 90.2%을 기록하며 9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업계에서 적정원가율로 여겨지는 80%를 상회하는 수치다. 매출원가율이 90.2%라는 것은 매출액이 1억원이면 이 가운데 원자잿값이 9000만원에 달한다는 의미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최근 4년간 시멘트가격이 50% 가까이 상승하는 등 원자잿값이 크게 올랐는데 올해도 고환율 영향으로 자잿값 추가상승이 예상되고 있다"며 "현시점에서 건설사들이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은 기수주 공사비를 늘리는 것이지만 이마저도 현재 물가인상 상황을 고려하면 겨우 본전만 찾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대형건설 B사 관계자는 "물가인상분을 반영한 공사비 증액이 가능하도록 관계부처나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야 한다"며 "전문가 파견제도나 공사비 표준계약서 같은 유명무실해진 정책이 아닌 보다 강제성·현실성 있는 대안이 신속하게 나와야 향후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