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아건설·삼부토건 등 시공능력 100위권 내 업체도 무너져DSR 3단계 도입 앞두고 미분양·유동성 우려 커져"건설업 침체 장기화 땐 한국 경제 전체 흔들릴 수도"
-
- ▲ 아파트 공사 현장. ⓒ뉴데일리DB
△ 공사비 급등·미분양 누적… 악재 겹친 건설업, 외환위기 이후 최악한국은행은 올해 건설투자 성장률을 -6.1%로 전망했다. 이는 1998년 외환위기 당시 -13.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각종 건설 관련 지표들도 업황 악화를 뒷받침하고 있다.
1일 통계청의 1분기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공사 실적을 나타내는 건설기성(불변)은 27조12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0.7% 감소했다. 이는 1998년 3분기(24.2%) 이후 최대 폭의 감소다. 건설기성은 지난해 2분기부터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3분기(-9.1%)와 4분기(-9.7%)에도 줄었다.
미분양도 심각하다. 4월 기준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은 2만6422가구로 전월보다 5.2% 증가했으며, 2013년 8월 이후 11년 8개월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건설사들의 재무 부담으로 직결되는 수치다.
또한 4월 주택 3대 지표인 인허가·착공·준공 모두 하락했다.
주택 인허가는 2만4026가구로 전년 대비 22.6% 감소했다. 착공은 2만5044가구로 전월 대비 81.8% 증가했지만, 1~4월 누계로는 5만9065가구로 지난해 동기보다 33.8% 줄었다.
업계는 공사비 상승과 수도권·지방 간 부동산 시장 양극화가 불황의 핵심 원인으로 보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고, 고물가로 인건비까지 뛰며 수익성이 악화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발표한 4월 건설공사비 지수는 131.06포인트로, 2020년(100 기준) 대비 30% 이상 상승했다.
여기에 지방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고금리 기조가 맞물리며 미분양이 늘고, 지방 중소 건설사들의 타격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경색과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축소도 업황을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 줄폐업 현실화… 중견 건설사 줄줄이 법정관리행
건설업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중견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8일, 시공능력평가 111위의 광주 지역 건설사 영무토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올해 들어 법정관리를 신청한 중견 건설사는 총 11곳으로 늘어났다.
이전에도 1월 신동아건설(시공능력평가 58위), 2월 삼부토건(71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4월 대흥건설(96위) 등이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이들은 모두 시공능력평가 100위권 내 업체로, 업계에 적잖은 충격을 던졌다.이 외에도 대저건설(103위), 삼정기업(114위), 이화공영(134위), 안강건설(138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등도 줄줄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공통된 원인은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미분양 누적에 따른 유동성 위기로 꼽힌다.
이런 상황에서 업계는 '7월 위기설'에 주목하고 있다. 7월 도입 예정인 DSR 3단계가 시장 관망세를 심화시키고 미분양을 더욱 키워, 중소·중견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를 가속화할 가능성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건설산업정보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종합건설업체 말소·폐업은 221개로 전년 동기 대비 47개 증가했다. 종합건설사와 전문건설사를 합치면 1분기 말소·폐업은 747개에 달했다.
△ 철강·시멘트·일자리까지… 경제 전반에 불똥건설 경기 악화 여파는 철강·시멘트 등 후방 산업으로도 빠르게 번지고 있다. 최근 동국제강은 7월 22일부터 인천공장 내 압연공장과 제강공장의 생산을 약 한 달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인천공장은 연간 국내 철근 생산량 1300만t 중 220만t을 차지하며, 동국제강 매출의 40%를 담당하는 핵심 생산기지다.
철강뿐 아니라 시멘트 수요도 급감했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시멘트 출하량은 812만t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1.8% 감소했다. 1분기 출하량이 1000만t 이하로 떨어진 것은 1998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때 뿐이다.
고용 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 올해 4월 기준 건설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15만 명 줄었다. 이는 지난해 5월부터 12개월 연속 감소세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업은 국내총생산(GDP)의 15%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라며 "불황이 장기화할 경우 한국 경제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정부 차원의 수익성 방어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