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최근 경제동향' 6월호 발표'경기 하방 압력 증가'→'경기 하방 압력'5월 소비자심리지수·中관광객 수 증가
  • ▲ 서울의 한 식당가 ⓒ연합뉴스
    ▲ 서울의 한 식당가 ⓒ연합뉴스
    정부가 신정부 출범 이후 첫 경기 진단에서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는 13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6월호에서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된다"고 했다.

    다만 지난 1월부터 '경기 하방 압력 증가'란 표현을 유지했으나, 이번 달에는 '증가'란 표현이 빠져 하방 압력 증가세가 다소 완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추가된 '수출 둔화' 진단은 이어졌다. 4월 산업활동동향 주요 지표는 미국 관세장벽 여파가 가시화하면서 산업생산, 소비, 투자 부문에서 일제히 줄었다.

    자동차(-4.2%)를 중심으로 광공업 생산은 0.9% 감소했다. 서비스업(-0.1%)과 건설업(-0.7%)도 줄며 전 산업 생산은 0.8% 줄었다.

    지출 부문에서 소매판매는 0.9% 줄었고 설비투자는 0.4% 감소했다.

    반면 5월에는 일부 긍정적 지표가 관측됐다. 정부는 소비자심리지수 개선과 방한 중국인 관광객 증가 등이 소매판매에 긍정적 요인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5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8로 전월보다 8.0p 올랐고,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도 전달보다 2.8p 상승했다. 지난달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작년 동월 대비 28.7% 늘었다.

    다만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이 1년 전보다 10.0% 감소하고, 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율이 둔화한 점은 부정적 요인일 것으로 정부는 예측했다.

    5월 집행되기 시작한 추가경정예산도 내수 회복을 일부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는 "경기 회복과 소비 활성화 및 취약계층·소상공인 지원 등을 위한 추경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글로벌 경제에 대해선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되고 교역·성장이 둔화할 우려가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