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증권 등 고배당주, 신정부 정책 기대감에 줄강세李 행정부, 세제·제도 개편 추진 … 분리과세 등 거론증권가 “기업 세금 부담 감소 시 배당 성향 상승할 것”
  • ▲ ⓒ뉴시스
    ▲ ⓒ뉴시스
    국내 고배당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코스피 5000 시대’를 공언한 이재명 대통령이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 중 하나로 ‘배당 촉진을 위한 세제·제도 개편’ 카드를 꺼내든 영향이다.

    ◇ 고배당주 관련 지수·종목 줄강세 … 신정부 정책 수혜 기대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40분 기준 ‘코스피 200 금융 고배당 TOP 10’ 지수는 전장(1852.31)보다 12.27포인트(0.66%) 오른 1864.58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각각 293만주, 1575억원을 기록 중이다.

    지수 구성 종목별로 살펴보면 NH투자증권이 2.95%로 상승 폭이 가장 컸고 ▲삼성증권(1.82%) ▲하나금융지주(1.01%) ▲기업은행(0.87%) ▲KB금융(0.47%) ▲우리금융지주(0.24%) 등이 동반 강세다.

    같은 시간 또 다른 고배당주 관련 지수인 ‘코스피 고배당 50’도 0.16% 오름세를 나타냈으며 현대홈쇼핑(2.99%)을 비롯해 ▲SK가스(2.51%) ▲강원랜드(2.19%) ▲삼성전자(2.07%) ▲이노션(2.07%) ▲HL홀딩스(1.72%) 등이 상승했다.

    이들 종목은 배당 중심 주주환원을 강화하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밸류업 정책 수혜주로 꼽힌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11일 거래소를 방문해 국내 상장사들의 저배당 기조를 지적하면서 세제·제도 개편을 예고한 바 있다.

    그는 “우리가 배당을 너무 안 하는 나라다. 중국보다 안 하는 그런 나라”라며 “다른 나라는 우량주를 사서 중간 배당을 받아 생활비도 하고 내수에도 도움이 되고 경제 선순환에 도움이 되는데 우리나라는 배당을 안 한다”고 꼬집었다.

    실제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집계한 국내 상장사들의 최근 10년(2014~2023년) 배당 성향은 26%에 불과하다. 이는 미국(42.4%), 일본(36%) 등 선진국뿐만 아니라 대만(55%), 인도(39%), 중국(31%) 등 주요 신흥국 대비로도 낮은 수준이다.

    또한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 962곳 중 지난해 배당을 시행한 기업은 절반 수준인 509곳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배당 성향이 35% 이상인 기업은 170곳(33.40%)이었다.

    이 대통령은 “국민들이 주식 투자를 통해 중간 배당도 받고 생활비도 벌 수 있도록 부동산에 버금가는 대체 투자 수단으로 만들면 기업의 자본 조달도 쉬워지고 대한민국 경제 전체가 선순환될 것”이라며 “배당을 촉진하기 위한 세제 개편이나 제도 개편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4월 24일 대표 발의한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소개했다. 해당 법안은 배당 성향이 35% 이상인 기업의 배당소득에 대해 별도 세율을 적용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다.

    ◇ 배당주 펀드에 ‘머니 무브’ … “배당 성향 상승할 것”

    당초 민주당 대선 공약집에서 제외됐던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이 대통령이 직접 언급으로 부각되자 배당주 펀드로의 ‘머니 무브’ 현상도 나타났다.

    국내 전체 배당주 펀드들의 순자산총액은 19조3982억원으로 최근 한 달 동안에만 4.51%(4447억원) 급증했다. 이 기간 ETF 시장에서 가장 많은 자금이 몰린 종목은 한화자산운용의 ‘PLUS 고배당주’로 1476억원이 유입됐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도 523억원이 유입됐으며 ▲신한자산운용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354억원)’ ▲삼성자산운용 ‘KODEX 고배당(133억원)’ ▲KB자산운용 ‘RISE 코리아금융고배당(25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시장에서는 배당 관련 세제·제도 개편이 이뤄질 경우 국내 증시 밸류업과 기존 고배당주들의 수혜를 전망했다.

    정다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고배당 기업의 배당소득에 분리과세가 적용되면 대주주에게 세율 인하에 따라 배당을 확대할 유인이 생긴다”며 “높은 누진세율로 인해 배당보다는 단기적인 양도차익에 집중했던 일반 투자자들의 장기 배당투자도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엄수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배당소득 관련 세금 부담이 줄면 대주주가 배당할 인센티브가 높아져 국내 기업들의 배당 성향이 상승할 것”이라며 “부동산 등 다른 자산으로 흘러 들어가던 자금 중 상당량이 주식으로 유입되면서 증시가 활성화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일각에서는 민주당 내부에서도 ‘부자 감세’라는 비판이 제기됐던 만큼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웅찬 iM증권 연구원은 “세제 혜택으로 배당분리과세 한도 확대, 상속세 감면 등이 논의되고 있으나, 이는 고소득층 감세라는 비판으로 현실성이 낮을 수 있어 직접투자보다는 펀드 등 간접투자에 집중될 전망”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증시 부양 정책은 지배구조 개선 가능성의 재평가로 귀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