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 직격탄 … 서울 아파트 시장 '빙하기' 진입6·27 대책 발표 후 일주일간 거래량 64.6%↓, 거래금액 67.3%↓강남3구·마용성 사실상 올스톱 … 외곽까지 ‘전(全)권역 한파’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정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 등 고강도 대출 규제(6·27 대책)가 발표 직후 시장에 즉각적인 충격파를 던졌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이 대책 적용 첫 주(6월 27일∼7월 3일)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전주(6월 20일∼26일) 대비 64.6% 급감한 577건에 그쳤고, 거래금액은 67.3% 줄어든 6319억원으로 집계됐다.

    ◇ 강남권 대출 수요 사라져 … 비인기 외곽까지 ‘유탄’ 

    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강남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프리미엄 수요가 몰린 지역에서 거래 위축 폭은 더욱 극심했다. 송파구는 거래량이 95.8% 감소했으며, 서초구 93.3%, 강남구 68.4% 줄었다. 마포(-66.3%), 성동(-53.8%), 용산(-21.4%)도 모두 20~70%대 급락세를 보였다.

    ‘6억원 이하 주담대로도 살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었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 외곽 지역마저도 거래량이 47.9~73.1% 빠졌다. 노원구는 58.0%, 도봉구 47.9%, 강북구 28.6% 감소했고, 금천구(73.1%), 관악구(62.7%), 구로구(65.8%) 모두 60% 이상 급감했다.

    ◇ 시장 ‘계약 해제·관망세 확산’

    대책 발표 전 체결됐으나 발표 후 해제된 거래는 125건에 달한다. 이 중 27일 당일 해제된 건수만 39건으로, 투자자들이 대출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계약을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 은평구 공인중개사는 “규제 발표 후 문의가 뚝 끊겼고, 집을 보러 와도 관망만 하고 돌아간다”고 전했다.

    은평·송파·마포구 공인중개사들은 “현금 매수자들은 더 떨어질 가격을, 대출 수요자는 규제 완화 시점을 기다리며 모두 관망세로 전환했다”고 전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고액 대출을 끌어쓴 일부 매수자들이 과도한 레버리지 공포감에 계약을 취소한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 정부, 공급 확대 카드 예고 … 후속 관건은 ‘속도감 있는 로드맵’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이번 대출 규제를 “맛보기”라고 칭하며, 집값 안정이 미흡할 경우 더 강력한 수요 억제책을 경고했다. 정부는 수요 억제 강화 측면에서 LTV(담보인정비율) 추가 축소 및 전세자금대출·정책대출에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적용 확대, 규제지역(조정대상·투기과열지구 등) 확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종료를 검토중이다. 

    공급 확대 방안으로는 기존 신도시(3기 신도시) 용적률 상향, 도심 유휴부지·청사 고밀 복합개발, 공공 재개발·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가속, 신규 택지 고밀 개발 등을 논의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공급 확대 로드맵을 얼마나 속도감 있게 제시하느냐가 ‘진정한 반등’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