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1월 예정된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행을 앞두고 정유·화학 업계가 큰 고민에 빠졌다. 올 1분기 암울한 실적이 2분기에도 계속 이어지면서 전체적으로 불황을 겪고 있는데다, 이미 자체적인 탄소배출량 절감 노력을 진행해오고 있었는데 여기에 정부의 의무할당비율까지 더해지면 업체의 부담이 가중될 것은 불을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경제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행시 제조업의 연매출 감소액이 최소 8조원에서 최대 29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23개 경제단체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대한 경제계 의견' 발표를 하고 배출권거래제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지난 2009년부터 이를 적극 추진해 온 환경부는 "탄소감축 부담 완화 등 기업부담을 최소화 할 방안을 마련 중"이라면서도 "이미 사회적 합의를 거쳐 법령에서 규정된 사안이므로 제도 시행은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라며 강력한 시행 의지를 보였다.
정유·화학 한 관계자는 "환경부가 예상보다 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예정대로 시행 될 것 같다"면서 "하지만 탄소배출량이 가장 많은 미국과 중국도 현실성이 떨어져 못하는 제도를 한국이 무리해서 진행하려는 게 이해가 안된다"고 말했다.
현재 이산화탄소 배출 상위국은 중국(28.6%), 미국(15.1%), 일본(3.8%) 등이다. 한국은 1.8% 수준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정부의 할당량이 매우 적어 자체 감축만으로 대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온실가스 ·에너지 절감 과제들을 발굴하는 한편 상쇄사업 등을 통한 추가 감축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상쇄 사업이란 협력업체 등 배출권거래제 대상이 아닌 업체에 온실가스 감축 투자를 통해 감축한 실적을 당사 실적으로 가져오는 것을 뜻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당징 6개월 후 시행된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 기업별 의무 할당 비율이 정해지지 않은만큼 업체들이 구체적인 선제 대응책을 마련하는 단계는 아니다"며 "업체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정유·화학 업체들은 일찍이 탄소배출과 관련해 공장을 설계할때부터 최소한으로 절감할 수 있는 노력들을 해왔기 때문에 탄소배출권 거래지 시행에 대한 부담감이 큰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반면, 정부와 함께 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에 참여해 온 SK이노베이션과 LG화학, 에쓰-오일(S-OIL) 등은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행에 대한 대비가 타 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 갖춰져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
SK이노베이션은 지난 2011년부터 생산정보시스템(OIS, Operation Information System)과 연동해 일단위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온실가스·에너지 관리시스템(GEMS, GHG & Energy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해 저탄소 경영을 강화한 바 있다.
이를 통해 SK이노베이션의 석유사업 자회사인 SK에너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0년 842만4000t에서 2011년 824만t, 2012년에는 820만t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또 2007년 국내 최초로 사내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해 2008년 울산 CLX에서 시험 운영 이후 2009년 SK인천석유화학(舊인천 CLX)을 포함한 전사 통합 사내 배출권거래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울산CLX는 울산 석유 화학단지 내 석유화학 공장으로부터 폐열스팀 도입 및 폐열 교환을 통해 벙커C유 사용을 연간 7500여만 리터 감축시키는 등 연간 140억 원의 비용 절감과 함께 매년 연간 11만2000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인 바 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공장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벙커C유를 탄소배출량이 적은 LNG(액화천연가스)로 전환하거나 폐열을 활용하는 등 탄소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놨다"면서 "다만, 이미 타 기업에 비해 탄소배출 비율이 적은데도 이런 상황을 감안하지 않고 총량 대비 몇 %를 의무적으로 일괄 적용하는 것은 다소 아쉽다"는 의견을 전했다. -
LG화학은 온실가스배출권 거래제 등 다양한 기후변화 규제에 선제적 대응을 해오고 있다. 지난 2004년 기후변화협약 대응 TFT를 구성했으며 2007년에는 정부와 공동으로 사내 배출권 제도를 시범적으로 시행했다.
LG화학은 현재 에너지·온실가스 관리 IT 시스템(GEMS, Greenhouse gas and Energ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매월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하고 있다. 또한 2013년 여수 VCM공장에 EnMS(에너지 경영시스템)를 도입해 ISO 50001 인증을 받았으며 올해는 국내 전 사업장 통합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LG화학은 본사 에너지·기후팀을 운영해 국내외 규제 대응 전략 수립, 에너지·온실가스에 대한 중장기 감축계획 수립,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 및 기회 요소 분석, 에너지 동반성장 추진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각 사업장에도 담당자를 선정해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를 발굴·수행하고 있다.
LG화학 기술연구원에서는 제품의 원료단계부터 폐기단계, 즉 제품 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하는 Carbon-LCA(Life Cycle Assessment)를 분석·수행하는 역할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 신기술 도입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의 기술 혁신에도 많은 역량을 투입하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에너지·온실가스 분야에서의 지속 가능한 동반성장을 위해 협력사와 함께 LG화학의 다양한 에너지 절감과 규제 대응 노하우를 공유하고 지원활동을 펼침으로써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