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결과 발표…논문도 아시아 임플란트 관련 임상의 관심 받아
  • ▲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선종 교수
    ▲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선종 교수


노년인구의 증가 등으로 골다공증 약 처방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골다공증 약 중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다공증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4년 이상 복용하거나 4년 이하라고 하더라도 스테로이드 등과 함께 복용하면 치조골과 잇몸에 괴사, 감염 등 턱뼈가 괴사하는 합병증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약물로 인한 턱뼈괴사증을 치료할 때 골형성단백질(BMP)을 이용했을 경우 치료 횟수 감소와 수술 성과가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대목동병원 치과 김선종 교수팀은 턱뼈괴사증 진단을 받은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자가혈소판농축피브린(PRF) 치료를 동반한 그룹, 골형성단백질(BMP) 치료를 동반한 그룹으로 나눠 치료 횟수, 치료 효과 등을 분석한 후향적 연구 결과 골형성단백질 치료에서 반복 수술의 빈도, 치료의 완성도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은 최근 일본 삿뽀르에서 열린 제 9회 아시아 임플란트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되어 아시아 임플란트 관련 임상의들의 관심과 호응을 받았다.

김선종 교수는 "노인환자의 턱뼈괴사증은 심미적, 기능적, 영양학적인 문제로 노인 건강에 치명적이므로 조기치료가 중요하며 골형성단백질 치료법의 발전을 통해 노인환자의 치료 횟수와 치료 결과를 예견할 수 있다는 데 이번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영국 구강악안면외과 학회 저널(British Journal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10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