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 1위의 축산 대기업 하림의 이중 행태에 대한 여론이 싸늘하다. 26억원 짜리 나폴레옹 이각모자와
1조원대의 펜오션 인수에는 잰걸음 행보를 보이면서 정작 구제역과 AI 대처에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지난해 12월 충북 진천에서 시작된 구제역의 첫 발생은 하림계열 농장이었다. 인근 경기와 강원 등지로의 확산 주범도 새끼돼지를 주고받은 하림 계열화 농장들 탓이었다.
규모화된 시설과 철저한 위생관리, 차별화된 방역체계를 입버릇처럼 내세웠지만 방역당국 조사결과 항체형성율은 40% 미만으로 일반 농가에 비해서도 턱없이 떨어졌다. 자연스레 축산대기업이 오히려 예방접종 등 방역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212개 사육농가 가운데 76%인 162곳이 하림 등의 계열화농가였다고 밝혔다. 또 올해 발생한 돼지구제역의 경우도 61개 발생 농장 가운데 49%가 축산 대기업 농장인 것으로 드러났다.
-
◇ 뿔난 농심..."하림 등 계열화 농장 삼진아웃시켜라"
충북 증평과 진천군 주민이 구제역이 발생한 하림의 기업형 축산농장 폐업을 촉구하고 나섰다. 증평군 도안면민 565명은 하림계열화 농장인 대성축산이 지난해 12월 구제역이 발생해 돼지 3425마리를 살처분한 것과 관련해 군에 진정서를 제출했다.주민들은 "어미돼지 6000마리와 새끼돼지 4만 마리를 기르는 기업형 축산농장에서 2011년에 이어 연이어 구제역이 발생했다"며 "구제역이 걸려도 국민이 낸 세금으로 보상받고 악취와 환경오염은 고스란히 주민들의 몫이었다"고 성토했다.
진천군 진천읍과 이월면 주민들도 올 들어 충북에서 처음으로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하림 계열 선진포크 농장 탓이라며 방역에 소홀한 대기업 농장의 퇴출을 요구했다. 특히 돼지 2만여 마리를 키우는 이 농장은 인근 경기도 등에 새끼돼지를 분양하고 있어 확산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
구제역 청정지역이었다가 최근 잇따라 구제역 발생한 강원도도 대기업 계열화 농장들의 입식이 구제역 전파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와 충북도가 조사한 결과 19곳 대기업 농장들의 항체형성율은 형편없는 수준이었다. A기업 농장 7곳의 평균 항체 형성률은 16.1%에 불과했다. 일반 농가 44.8%보다 턱없이 낮다. 이중 2곳은 아예 항체 형성률이 0%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거나 흉내만 냈다는 얘기다. B기업 역시 항체 형성률이 저조해 12곳 중 5곳은 항체 형성률이 30% 미만으로 조사됐다.
이양섭 충북도의원은 "대기업 계열화 농장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했고 방역을 소홀히 한 정황이 드러났으며 이로인해 애꿎은 소규모 농장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구제역이 발생할 경우 방역, 살처분 비용을 해당 기업이 물도록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시종 충북지사와 유영훈 진천군수도 상습적으로 구제역을 발생시키는 축산업자를 퇴출시키기 위한 '삼진 아웃제' 도입을 공개적으로 제안했다. 경기도와 강원도 등 다른 지자체들도 비슷한 이유로 축산 대기업에 대한 성토 목소리가 높다.
-
하림 등 대기업 농장들이 방역에 소홀한 이유가 있다. 구제역이 발생해도 살처분 보상금은 최대 80%까지 지원받고 각종 방역 비용과 인원동원도 모두 정부와 지자체가 대신해 주기 때문이다. 농협과 농가들은 "대기업과 위탁 농장의 근로자가 대부부 외국인이고 일반 농가와는 달리 예방백신 투여는 물론 자체적인 소독시설 조차 갖추지 않고 있다"고 폭로했다.
보다못한 정부까지 나서 대기업들의 방역투자를 요구하고 있지만 끄덕도 않는다. 하림 등 축산대기업들은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정부 방침에 따랐을 뿐"이라는 변명으로 일관하며 지금까지 변변한 입장과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AI에 이어 구제역에도 실명제를 도입해 가축 전염병이 발생하면 계열화 사업자의 명단까지 공개하기로 했다. 또 전염병에 따른 도살과 매몰 등 처리비용을 원칙적으로 농장주가 부담토록 하는 방침을 정했다.
그동안은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등 가축 전염병이 생기면 처리 비용 전액을 해당 지자체가 부담했다. 그 비용만도 최근 4년간 3조원에 달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대기업이 해결해야 할 비용을 정부가 부담해 결국 국민들이 나눠서 낼 필요가 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