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5일, '메르스 발병현황 및 현장 모니터링 결과' 발표
  •  

    "정부는 메르스 정보를 차단하지 말고 메르스 감염을 차단하고, 진료현장을 집접 방문해 실효성있는 대책을 수립하라."

     

    보건의료노조는 메르스 확진환자 41명, 사망자 4명이 집계된 5일,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발병현황 및 현장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보건노조는 "메르스 상황판을 홈페이지에 만들고 직접 실사단을 구성해 국가지정입원병원들을 시찰한 결과, 감염 환자 관리에 있어 허점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41명의 확진환자 중 5명이 의료진인 것을 들어, 의료진 감염 위험이 높으나 의료진에 대한 보호지침조차 없는 곳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의료진이 병원에 보호장구를 요구하자 병원이 "질병관리본부에서 N95 마스크 착용지침만 나와 있다"고 답한 사례도 있었다. 의료진들은 가운과 글러브, 모자 등 보호장구를 스스로 마련해 착용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에 더해 전염병에 대비한 N95 마스크 등 일반적인 보호장비조차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않은 병원들도 다수 확인됐다.

     

    특히 당국이 밝힌 전염을 차단해준다는 음압격리병상의 경우 지역거점공공병원 역할을 맡는 지방의료원은 음압격리병상 60.5% 운영으로 운영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었으나, 실제 노조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방의료원의 음압격리병상은 낙후된 병원건물의 리모델링을 통해 만든 것으로 일반병동과 같은 층을 사용하고 있어 실제 메르스와 같은 전염병에 대비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보건의료노조가 음압격리병상이 있는 21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메르스 대응을 위한 시설장비현황 실태를 조사한 결과, '메르스환자가 오면 즉시 음압격리병실 입원과 치료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곳은 6개 병원(28.5%)에 불과했다.

     

    또 메르스환자 입원시 담당할 인력준비도 부실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메르스환자 입원시 담당할 인력운영계획이 있는 곳은 6곳(28.5%)에 불과했고, 메르스환자 투입시 치료를 위해 즉시 투입될 인력과 교체할 수 있는 인력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못한 곳은 20곳(95.2%)에 달했다.

     

    의사, 간호사 및 직원들이 신종감염병 감염관리 교육 및 훈련을 받은 곳은 7곳(33.3%) 뿐이었고, 메르스환자 대응을 위한 질병관리본부의 매뉴얼과 의료기관의 자체 대응지침을 만들어 직원들과 공유했다고 답한 곳은 11곳(52.3%)에 그쳤다.

     

    현재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 보건노조는 정부에 △위기대응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하고 청와대를 컨트롤타워로 한 범정부적 대책기구를 구성할 것 △메르스 확진자 병원 정보 공개 및 거점병원 추가 확대할 것 △전수조사를 통한 메르스 방역망 구축 △의료진 보호 및 메르스 진료 의료기관에 대한 지원 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