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86%는 "경제정책, 대기업 위주서 중기 중심으로 전환돼야"
  •  

  • ▲ 지난해 7월 중소상인들이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 앞에서 적합업종 무용론을 주도하고 있는 전경련를 맹비난하며 '중소상인 적합업종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 지난해 7월 중소상인들이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 앞에서 적합업종 무용론을 주도하고 있는 전경련를 맹비난하며 '중소상인 적합업종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이 필요하고, 국가의 경제정책이 대기업 위주에서 중소기업 위주로 전환돼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박성택)는 20대 이상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6월 6~7일 양일간 실시한 '적합업종 관련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기업이 영세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사업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해 시장을 잠식하는 것에 대해 응답자의 81.1%는 '잘못하고 있다'(매우 잘못 32.1%, 잘못 49.1%)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40대~50대(87.5%), 전문직(86.6%), 공공기관 종사자(84.4%), 대기업 종사자(84.1%)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대해선 응답자의 88.5%가 제도의 필요성에 동의를 나타냈다. 적합업종 제도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선 57.7%가 '우리나라 경제의 풀뿌리인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이 잘 돼야 경제가 튼튼해지기 때문'이라고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자본, 조직이 열악한 경제적 약자로 공정한 경쟁이 어렵다'(48.5%), '대기업의 시장 잠식으로 독과점이 발생해 제품가격이 상승'(34.6%), '대기업은 장치산업, 첨단산업 및 수출에 주력하고 순대, 단무지 등은 중소기업에 경쟁력이 있다'(3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중소기업 근무자의 58.3%가 '우리나라 경제의 풀뿌리인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이 잘 돼야 경제가 튼튼해지기 때문'을 1순위로 뽑은 반면, 대기업(62.0%), 공공기관(58.0%), 전문직(66.0%), 학생(65.2%) 등은 1순위로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자본, 조직이 열악한 경제적 약자로 공정한 경쟁이 어렵다'를 선택했다.


    중소기업적합업종 품목의 확대·유지와 관련해선 85.3%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남녀 공통으로 전 직업군에서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가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 국민 84.0%는 "현행 3년의 적합업종 지정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이같은 응답은 전문직(90.0%)과 대기업(88.1%) 종사자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 대기업의 중소기업사업영역 침투에 대한 대국민 인식. ⓒ중기중앙회
    ▲ 대기업의 중소기업사업영역 침투에 대한 대국민 인식. ⓒ중기중앙회

     

    향후 우리의 경제정책은 대기업 위주에서 중소기업 위주의 경제정책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응답자의 86.1%가 '동의'를 나타내 재벌위주의 경제구조에 대한 문제인식을 엿볼 수 있었다.


    박성택 중기중앙회장은 "국민들은 대기업 중심의 경제정책 추진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며 "정부의 지원을 통해 성장한 대기업의 갑질문화를 근절하고, 우수한 기술을 개발한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의 시장침탈과 기술, 아이디어의 탈취·유용 등으로부터 자유로운 기업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기업이 지원의 대상이 아닌 경제의 중심으로 정당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