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주액 137억2247만원으로 전년比 41% ↓부족한 금융지원 위해 '선순환' 환경 구축돼야
-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신규수주가 급감하면서 수주절벽이 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국내 10대 대형 건설사가 신고한 5월 해외수주 계약 건수는 3건에 불과했다.
수주 프로젝트는 △삼성물산, 싱가포르 주법원 △대림산업, 사우디 Elastomers 프로 젝트 - sSBR Facilities △현대건설 하마드 메디컬 시티 재활병동 및 부대시설 잔여공사에 불과하다.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금액도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반 토막 수준이다. 올해 계약금액은 137억2247만8000원으로 전년동기(233억5325만5000)과 비교하면 41%가 떨어졌다.
이처럼 계약금액이 급감하면서 대형 건설사들의 해외 수주잔고가 줄고 있다.
대우건설은 올해 1분기 기준 9조8740억원을 수주잔고량을 보이며 지난해 말(10조5322억원)보다 줄었다. 현대건설도 1분기 22조3846억원을 기록하며 전분기(22조6916억원)에 비해 감소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해외 수주량이 감소해 사업의 연속성이 떨어지면 회사 전체의 수익률 감소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해외 수주감소는 전반적인 경제성장 둔화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원자재·원유 가격하락 등으로 세계의 경제성장률은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특히 나이지리아, 남아공, 앙골다 등 주요 발주처로 꼽히는 국가의 경상수지가 악화하면서 투자증가 효과를 상쇄시키고 있다.
최근 미국이 금리인상을 예고하면서 해외 발주환경은 더욱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국에 투입된 달러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금융 환경이 열악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발주처는 발주계획을 미루거나 취소할 수 있다.
특히 금리인상으로 유가가격이 하락하면 중동의 발주물량은 다시 감소하는 악순환으로 접어들게 된다. 건설업계의 위축은 장기전으로 돌변하게 된다.
손태홍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인상에 따른 유가의 약세로 중동 발주처 환경은 악화할 수 있다"며 "단순한 유가의 가격보다는 저유가의 장기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
최근 '제2의 중동'이라고 주목받는 신흥시장 아프리카가 주목받고 있다. 올해 아프리카의 계약현황을 보면 5억1050만8000달러로 전년 동기(2조3921만6000달러)와 비교하면 2배 이상 급증했다.
아프리카는 사회기반시설이 부족해 발주량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증가, 도시화 진전, 외국인 투자, 산업 발전 등 에 따른 필요한 인프라 확충으로 올해 약 1200억달러의 발주가 예상된다. 해외건설협회는 지난달 27일부터 31일까지 에티오피아·우간다·케냐 건설협회와 각각 건설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건설업계는 아직 아프리카 시장을 보수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이 아프리카를 찾을때 임병용 GS건설 사장을 제외하면 CEO가 직접 현장을 찾은 대형 건설사는 없었다. 이란 방문 당시 대형 건설사의 사장이 총출동했던 것과 대조를 이뤘다.
일부에선 아프리카보다는 이란에 집중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해외 진출 초반부터 다져온 이란 시장이 먹거리가 풍부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일부 대형 건설사들은 이란이 경제 제재 속에서도 현지 사무소를 철수하지 않았다. 이란에 신뢰를 쌓게된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아프리카의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해 발주량 증가는 기대되는 부분"이라면서도 "이란보다는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외시장에서 중국은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한국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 건설사들은 국영은행과 손잡고 제로금리 수준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해외 수주를 위해 동분서주하는 건설업계는 양해각서(MOU)가 계약체결로 이어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의 적극적인 금융지원 정책만이 시간 단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그러나 건설업계가 먼저 금융조달을 받을 수 있는 선순환 구조 환경을 구축해야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도급 중심에서 벗어나 투자·개발 등 종합적인 능력 쌓기도 필요하다.
정종현 해외건설협회 금융지원처 팀장은 "해외사업에 진출한 건설사들이 흑자 사업을 진행해야 금융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며 "금융기관도 수익 보장 확신이 없는 상태에서 자금지원은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