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주행 수준 자율주행차 2024년까지 개발인공지능, 스마트시티 등 9개 국가전략프로젝트 확정
  • ▲ 박근혜 대통령이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박근혜 대통령이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관 합동으로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바이오신약, 미세먼지 해결 등의 미래 사업을 추진한다.

    정부는 10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9개 국가전략 프로젝트를 확정했다.

    국가전략 프로젝트는 미래 신산업을 창출하고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과학기술계와 산업계, 각 부처 의견수렴을 통해 166건의 후보사업을 발굴한 뒤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검토위원회가 그중 9개를 선별했다.

    선정된 프로젝트는 '성장동력 확보' 분야의 △자율주행차 △경량소재 △스마트시티 △인공지능(AI) △가상증강현실, '삶의 질' 분야의 △미세먼지 △탄소자원화 △정밀의료 △바이오신약 등이다.

    청와대는 민·관 역할 분담 하에 이러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전했다.

    정부는 원천기술 개발과 인력양성, 규제혁파 등 법·제도 개선을 지원하고 기업은 선제적인 투자를 통해 시장을 선점키로 했다.

    프로젝트별로 자율주행차 사업은 영상센서 등 자율차 핵심부품과 인지·제어·보안 등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법령과 규제를 개선함으로써 오는 2024년까지 레벨 3 수준의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레벨 3은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 등의 제한된 조건에서는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또 도시개발 엔지니어링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도시 인프라를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시티 기술을 개발하고 민·관 공동으로 복합지능 AI 공통플랫폼을 개발, 국방과 치안 등 공공분야 적용을 통해 민간 AI 산업 수요를 창출한다.

    이 밖에 국민 건강정보와 AI 기술을 접목해 유전체 정보와 의료 정보 등을 분석, 개인맞춤형 예방·진단·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밀의료 기술과 인프라도 구축한다.

    또 미세먼지 해결을 위해 발생원과 생성기제를 과학적으로 정확히 규명하고 혁신적인 집진·저감 기술을 개발해 화력발전소 등 산업현장에 적용할 방침이다.

    바이오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정책, 금융, 인허가 등 패키지 지원으로 4대 중증질환 신약의 후보물질에서 제품화까지 단절없는 지원을 추진한다.

    현대원 청와대 미래수석은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과학기술 혁신은 국정의 핵심 어젠다 중 하나"라며 "정부는 민·관 역량을 총 결집해 국가전략 프로젝트를 미래를 대비하는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