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여객 연평균 10% 성장률
  • ▲ ⓒ연합뉴스 제공
    ▲ ⓒ연합뉴스 제공

올해 연간 항공여객이 1억명을 돌파했다. 1948년 첫 민간 항공기가 취항한 이후 68년 만이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국내 항공여객은 총 1억379만명으로 1억명을 처음으로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국제선은 7천296만명, 국내선은 3천83만명을 차지한다.

항공여객 1억명은 190석 규모의 B737 항공기가 100% 탑승률로 매일 1천442회(연간 53만회) 운항했을 때 달성할 수 있는 수치다. 실제 올해 하루 평균 항공기가 운항한 횟수는 1천727회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항공여객은 연평균 10%의 성장률을 보이며 1987년 1천만명을, 2007년 5천만명을 각각 돌파한 데 이어 불과 9년 만에 2배로 성장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국제선이 18.8%, 국내선이 10.2% 각각 늘어 총 16.1% 증가한 수준이다.

시대별로 보면 1970년대는 국제선, 1980년대는 국내선, 2000년대는 국제선의 여객 성장이 두드러졌다.

2010년 이후 국제선 성장세는 저비용항공사(LCC)와 외항사가 주도했다. 이 기간 연평균 여객 증가율은 LCC가 57.1%, 외항사는 11.6%에 달한다.

이 같은 성장세에 힘입어 우리나라는 작년 기준으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가입국 중 전체 항공수송실적(여객+화물) 8위, 여객 16위, 화물 4위를 각각 차지했다.

국제선만 놓고 보면 전체 항공수송실적 6위, 여객 11위, 화물 4위에 이름을 올렸다.

국토부는 항공여객 1억명 달성은 항공자유화 등 정부의 발전 기반 마련, 저유가와 여행수요 증가 등 우호적인 영업환경, LCC 운항 확대와 대형 항공사들의 전략적 사업 운영 등이 모두 조화를 이룬 결실이라고 평가했다.

또 그간 공항자유화와 인천국제공항 경쟁력 강화방안 시행, 지방공항 활성화 추진, 저비용항공사 안전 및 경쟁력 강화방안 시행 등 정부의 정책적인 뒷받침도 크게 기여했다. 

향후 국토부는 경쟁력 있는 항공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항공안전 체계를 갖추며, 국민이 만족하는 수준 높은 항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강호인 국토부장관은 "현재의 항공운송산업 성장에 안주하지 않고 항공여객 1억명이라는 값진 성과를 기반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