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해 첫 기준금리가 연 1.25%로 동결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3일 이달 기준금리를 지난해 12월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키로 했다.
지속되는 경기침체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최근 통계청과 금융투자업계는 전국 2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2015년 평균소득(437만3116원) 대비 식료품 등 소비지출(256만3092원) 비율은 58.6%에 그쳤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있는 2003년 이후 역대 최저치이다.
고소득층도 지갑을 닫는 추세다.
소득 상위 10%인 10분위 계층 소비지출 비중은 지난 2005년 50.3%로 50%를 웃돌았지만 2010년 48.2%로 내려왔고 이어 하락세를 지속해 2015년 45.1%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가계부채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의 여건으로 사실상 인하할 여력이 못된다.
1300조에 육박한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정부는 금융권·부동산 등 업권별 관리 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지난해 초 금융권의 여신심사 강화를 시작해 올해 1일부터 분양공고된 사업장에 대한 중도금대출의 요건도 강화했다.
또 청약 요건을 까다롭게 하고 일부 지역의 분양권 전매제한을 금지한 11.3 부동산 대책도 마련됐다.
여기에 오는 20일 출범할 도널드 트럼프 신 정부의 경제정책 불확실성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도 금리결정에 영향을 줬다.
지난해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년 만에 정책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미국 기준금리는 0.50~0.75%가 되면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격차는 0.50~0.75%포인트로 좁혀졌다.
특히 연준은 금리 인상과 아울러 올해 미국이 금리를 3차례 올릴 것을 예고했다.
이에 미국의 금리 수준은 1.25~1.50%로 우리나라 기준금리보다 높아지게 된다.
결국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출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