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서 가장 낮은 수준…집값 비싼데 상승폭도 가팔라


  • 서울살이를 하는 30대 중 '내 집'이 있는 사람은 3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국내 30대 가구주 327만9000가구 중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비중은 139만 가구로 전체의 42.4%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가장 낮았다.

    서울의 30대 가구 71만3000가구 중 주택소유 가구는 23만7000가구로 33.3%에 그쳤다. 이는 전국 평균보다 9.1%포인트 낮은 수준인데다 전국 17개 시·도 지역 중 유일하게 30%대였다.

    강원(41.2%)과 제주(41.6%), 경기(41.8%), 대전(42.5%)을 비롯해 대구(44.9%), 세종(45.1%), 충남(45.3%), 경북(45.6%) 등은 모두 40%를 넘었다.

    특히 인천(46.2%), 광주(46.3%), 전북(46.5%), 전남(46.7%), 부산(47%), 충북(47.3%) 등은 40% 후반대였고, 경남(50.3%)과 울산(53.3%)은 50%를 넘었다.

    서울의 30대들이 주택소유 비율이 낮은 것은 서울의 집값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절대적으로 비싼데다 집값 상승폭도 가파르다보니 경제 활동이 활발해도 취업 이후 종잣돈을 마련하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의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서울 지역에서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주택 마련까지 걸리는 시간을 표본 분석한 결과 '10년 이상'이 3명 중 1명인 33.2%로 가장 많았다.

    1년 미만이 26.1%, 5∼10년은 21.4%, 3∼5년은 10.2% 순이었다.

    부모 등의 도움을 받아 결혼 직후 집을 산 경우가 아니라면 적어도 5년, 길게는 10년 이상 노력해야 겨우 자기 집을 갖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의미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서울이 다른 지역보다 부동산 가격이 훨씬 높고, 20∼30대는 자산 축적 기간이 짧으니 주택 소유가구 비중이 낮게 나오는 것"이라며 "이처럼 주거비가 과도하다고 느껴지면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데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