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산물 소비자가격 가운데 유통비용의 비중이 과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공공기관 농산물 수급안정 사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농산물 가격 중 유통비용 비중은 43.8%에 달했다.
농산물 소비자 구입비용이 1000원이라면 농가가 실제로 받는 금액은 562원이고, 유통비용이 438원 발생했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일반적 농산물 유통구조는 산지에서 농업인이 채소 등을 생산하는 생산단계, 산지유통인이나 계약재배자에게 농산물을 판매하는 출하단계, 도매시장을 활용해 농산물을 유통하는 도매단계, 소매점을 활용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소매단계로 이뤄졌다.
유통단계별 유통비용은 출하단계 9.3%, 도매단계 12.6%, 소매단계 21.9%로, 소매단계 부담이 가장 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이에 대해 "(소매점의 경우) 상점 임대료와 인건비가 많이 들며, 재포장 비용, 상품 손실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좀처럼 유통비용이 줄지 않는다는 점이다. 연도별 농산물 유통비용 비율 추이를 살펴보면, 2006년 44.0%, 2013년 43.5%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오히려 2013년 대비 2015년은 0.3%p 높아졌다.
국회예산정책처는 "aT가 유통 지원을 위해 채소류와 버섯류의 저온 유통을 지원하는 저온유통체계개선 사업, 주산지별로 품목 특성에 맞는 규모화 및 현대화된 산지유통시설을 지원하는 농산물산지유통시설지원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실직적인 농산물 유통비용 감소 효과는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향후 aT는 농산물 유통비용 감소를 위해 도매 시장 경유보다 유통단계가 축소되는 유통센터 직접 공급을 늘리고, 더 나아가 사이버 거래와 직거래시장을 통한 신유통 경로가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유통지원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aT 관계자는 "유통비용 절감과 함께 생산자와 소비자의 출하·구매 선택권을 넓히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며 "기존 도매시장 위주의 유통 구조를 환경 변화에 맞춰 온라인 등 판매 채널을 다변화해 나갈 것"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