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간 금리 차이 0.05%포인트…확대 가능성 커"수출 58% 차지하는 신흥국 불안 시 부정적 영향"
  •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한·미 금리가 역전된 가운데 미국의 이달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로 되고 있다.

    이에 따른 문제점으로 외국인 자본유출은 제한적이지만,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분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 2015년 말부터 7차례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해왔다. 이에 지난 6월부터 한미 간 금리 차이가 0.5%포인트로 확대됐다.

    정귀일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노동시장, 물가수준과 향후 경제성장률을 고려할 때 하반기 9월과 12월 2차례 금리를 인상하고 내년 상반기에도 긴축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전망했다.

    미국의 1분기 GDP 성장률(1분기)은 4.1%에 달한다. 실업률(7월)도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인 3.9%를 기록했으며, 근원민간소비지출 물가(6월)도 1.9%로 상승했다.

    이 같은 전망은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 BNP파리바, 노무라증권 등 주요 투자은행도 의견이 같다.

    미국은 이달 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31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자산, 환율, 금리 등 채널을 통해 신흥국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그동안 미국은 시장에 충분한 긴축 신호를 보내며 점진적으로 금리를 인상해 금융시장 변동성은 크지 않았다.

    과거 사례를 보면 미국은 지난 2004년 당시 24개월간 17차례 금리 인상(기준금리 1%→5.25%)을 단행했을 때 충분한 신호를 보낸 후 단계적 인상를 조치해 시장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미 채권·주식은 안정적이었으며, 대부분 금리 상승을 원활히 흡수했다. 
  •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정귀일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외화자금시장과 외채구조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안정적으로 개선돼 미국 금리 인상의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도 주요국 대비 낮아 안정적"이라고 말했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지속해서 증가해 40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단기채무 비중을 줄여 외채구조도 개선됐다.

    한미 간 금리가 역전된 이후 우려감이 커지고 있는 외국인 투자자본 유출에 대해서는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미국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5차례 금리를 인상할 때에도 양호한 외환건전성 등으로 타 국가보다 급격한 외국인 자금 유출은 없었다. 올해 1~6월간 외국인의 국내채권 순매수 규모는 12조2000억원에 달한다.

    정귀일 연구위원은 "최근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세계 증시 하락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가 미국 국채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지면서 미국 장기 국채 금리가 하락하는 것도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신흥국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신흥국 금융과 실물경제가 불안해질 경우 우리나라의 수출 부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정귀일 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면 달러 강세로 수출 경쟁력에 일부 긍정적 반사이익이 있을 수 있지만, 신흥국 경기 침제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클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신흥국가의 금융시장 불안은 금융시스템이 취약한 다른 국가로 전이될 수 있다"며 "경기둔화 및 디플레 발생 등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수출에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신흥국 수출 비중은 올해부터 다시 증가세다. 1~6월 신흥국 수출은 1725억 달러로, 총수출의 58.0%를 넘어섰다.

    이렇듯 우리나라 수출구조가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다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신흥국 경제가 악화될 경우 우리 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귀일 연구위원은 "브라질, 터키, 남아공, 아르헨티나 등 미국 금리 인상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국가들은 통화가치나 주식 하락 등 불안한 금융환경을 경험하고 있다"며 "취약 신흥국 수출 비중이 크면 수출시장을 보다 다변화해 변동 리스크를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에 이어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리게 되면 시장 및 기업대출 금리도 상승하므로 수출기업들은 향후 시설 및 운영자금 운영 등에 있어 발생 가능한 어려움에 대비해야 한다"며 "대기업보다 중소기업 대출 금리가 0.55%포인트 높으므로 자금 압박이 더 클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