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칸영화제에서 한국 최초로 황금종려상 수상지난 30일 국내서 개봉 시작, 평일에도 80% 넘는 예매율 기록멀티플렉스 도입, 표준근로계약서 준수 등 한국 영화산업 발전에 기여
  • ▲ 이재현 CJ 회장.ⓒCJ그룹
    ▲ 이재현 CJ 회장.ⓒCJ그룹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문화가 없으면 나라가 망한다'라는 문화보국의 사명감이 20년만에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영화계 최고 권위인 칸영화제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황금종려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30일 영화 '기생충'이 전국에서 일제히 개봉, 평일에도 불구하고 80%에 육박하는 예매율을 기록했다.

    관객들은 기생충이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터라 더욱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주말을 기점으로 폭발적인 흥행몰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우리나라 영화산업을 선도하는 CJ의 투자 노력이 다시금 조명을 받고 있다. 실제로 그동안 CJ가 문화산업에 투자한 누적금액이 무려 7조5000억원이 넘는다.

    CJ ENM은 기생충의 투자·배급사로, 제작사인 바른손이앤에이와 125억원의 투자계약을 체결하며, 기생충을 탄생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CJ는 봉준호 감독과 2009년 영화 '마더'를 함께 한 이후 글로벌 프로젝트 '설국열차'에 이어 이번 '기생충'까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한국영화 산업의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

    4000만 달러라는 막대한 제작비가 들어간 설국열차는 촬영을 앞두고 해외투자 유치가 어려워지자 CJ가 제작비 전액을 책임진 것으로 유명하다. 먼저 제작에 들어간 뒤 해외 판로를 개척해 글로벌 흥행을 이끌어 내는 등 한국영화의 글로벌 제작 역량과 위상을 올리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영화계 관계자는 “영화 '기생충'의 황금종려상 수상은 우리나라의 국격을 높인 국가적인 경사로, 한국 영화산업이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했다는 의미”라며 “CJ는 지난 20년간 다양한 장르, 신선한 소재의 한국영화에 꾸준히 투자하고 멀티플렉스 등 산업인프라를 구축하여 한국영화 산업의 질적, 양적 성장에 기여해 왔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CJ는 1995년부터 320편이 넘는 한국영화를 꾸준히 투자·배급하며 국제영화제 진출 및 수상으로 한국영화를 세계시장에 알리는데 기여했다.

    오랜 적자에도 불구하고 20년 넘게 문화사업을 지속해온 것은 이재현 회장의 강력한 의지 때문이다. 이미 널리 알려진 대로 이재현 회장은 1995년 신생 할리우드 스튜디오인 드림웍스에 투자 계약을 하러 가면서 ‘문화의 산업화’라는 본인의 비전을 밝혔다. 영화 투자·제작을 근간으로 극장, 콘텐츠 투자, 방송사 등 문화콘텐츠를 앞세워 세계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것.

    담대한 비전만큼 투자 규모도 남달랐다. 당시 투자 금액은 제일제당 연간 매출의 20%가 넘는 3억 달러(약 3300억원)였다. 이 회장은 경영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문화가 우리의 미래”라는 확고한 신념으로 투자를 강행했다. 이후 CJ는 IMF 시기인 1998년 4월 국내 최초의 멀티플렉스 극장인 ‘CGV강변11’을 오픈, 영화산업의 일대 전환기를 불러왔다.

    CJ가 한국영화 투자 및 배급 시스템 확립, 멀티플렉스 극장 도입 등 영화산업에 진출한 것이 기폭제가 돼 한국영화산업은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연간 누적 관객은 6년 연속 2억명을 넘겼으며, 할리우드 영화에 밀렸던 한국영화 점유율은 8년 넘게 50%를 넘고 있다. 자국영화 점유율이 50%를 넘는 국가는 미국, 일본, 중국, 인도뿐이다. 그만큼 한국영화의 자생력과 경쟁력이 향상됐다는 방증이다. 

    CJ는 영화산업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 왔다. 표준근로계약서 준수가 대표적이다. 스태프 4대보험 가입, 초과 근무수당 지급 등의 내용을 담은 표준근로계약서는 적용시 전체 제작비가 5~10% 이상 상승하기 때문에 제작사나 투자사 입장에선 부담이 크다.

    하지만 CJ는 2013년 표준근로계약서를 가장 적극적으로 도입했으며, '국제시장' 이후 모든 영화에 의무화 하고 있다. '기생충' 역시 봉준호 감독이 표준근로계약에 맞춰 작업을 한 것이 수상에 맞물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13년에는 국내 영화제작사들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부율을 조정, 한국영화에 대한 제작사와 극장의 부율을 기존 50:50에서 55:45로 변경키로 했다. CJ CGV가 부율 개선에 나선 이후 메가박스, 롯데시네마도 동참하는 등 시장의 변화를 이끌기도 했다.

    이재현 회장은 재능있는 창작자들이 창의성을 맘껏 발휘할 수 있는 문화 생태계를 조성해야 이들이 만든 창작 콘텐츠가 한류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축할 수 있다고 평소 입버릇처럼 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현 회장의 시선은 이미 글로벌을 향해 있다. 새로운 성장 돌파구를 모색하는 국내 영화산업이 나아갈 길은 글로벌 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2007년 할리우드 영화 '어거스트 러쉬' 투자를 시작으로 글로벌 진출을 시도했던 CJ는 올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기생충'이 전 세계 192개국에 선판매되며 이전 박찬욱 감독 '아가씨'의 176개국을 넘어섰다. 미국 메이저 제작사들과 영화 제작 논의도 한창이다.

    유니버설 스튜디오(Universal Studios), 엠지엠(MGM)과 함께 '써니', '수상한 그녀'의 미국판 'Bye Bye Bye'와 'Ms. Granny’가 연내 제작에 들어갈 예정이다. 극장 사업도 순항 중이다. CGV가 독자 개발한 오감체험영화관 4DX는 60개국 이상에 진출해 있으며, 삼면스크린을 갖춘 스크린X는 17개국 이상에 수출되고 있다. 

    CJ그룹 관계자는 “문화산업이 미래의 한국을 이끌 것으로 예견하며 지난 20년간 문화사업에 지속 투자를 해온 이재현 회장의 의지가 한국영화 열풍의 토대가 됐다”며 “K컬처를 전 세계로 확산시키고, 대한민국이 전 세계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문화강국으로 도약하는데 CJ가 주춧돌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