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딜' 타이밍 노리는 제주항공아시아나항공도 인수 무산 가능성
  • ▲ 이스타항공. ⓒ권창회 기자
    ▲ 이스타항공. ⓒ권창회 기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항공업계가 가상 초유의 위기에 처한 가운데 지난해 말부터 기대를 모았던 항공업계 M&A가 결국 '노딜(인수 무산)'로 끝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과의 계약해제조건을 충족했다며 최종 '노딜' 선언만 남겨둔 상태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HDC현대산업개발이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어 인수 무산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과의 M&A 계약을 파기하는 쪽으로 사실상 내부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은 16일 "정부의 중재 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계약해제 최종 결정과 통보 시점을 정하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정부의 추가 지원을 기대한다기보다는 '노딜'을 선언할 적절한 타이밍을 살피고 있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제주항공 측은 "당장 계약을 깬다고 하기보다는 상호간 입장을 이해하는 시간을 갖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제주항공과의 M&A가 무산되면 자력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이스타항공은 결국 파산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돌입하면 기업회생보다는 청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6개월 넘게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도 제주항공으로의 인수를 기대하며 임금 반납까지 동의했던 직원 1600명은 무더기로 길거리에 나앉게 된다.

    이 경우 제주항공은 물론, 양사의 갈등을 제대로 중재하지 못한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 등에도 비난의 화살이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조는 20일 오후 제주항공의 모회사인 애경그룹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제주항공을 규탄하는 한편,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피켓시위와 집회를 지속할 방침이다.

  • ▲ 항공업계 노동조합 공동 기자회견. ⓒ권창회 기자
    ▲ 항공업계 노동조합 공동 기자회견. ⓒ권창회 기자

    아시아나항공의 인수 전망도 밝지 않다.

    HDC현대산업개발이 지난달 9일 인수를 원점에서 재검토하자고 밝힌 이후 채권단과 추가협상조차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일 러시아를 끝으로 인수 선결조건인 해외 기업결합 심사절차가 모두 마무리됐지만, 현대산업개발 측은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 상승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여전히 선결조건이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최근 금호산업이 현산 측에 인수를 촉구하는 내용증명을 보내기도 했지만, 현산 측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역시 무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세부조건을 놓고 다투는 등의 물밑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면 내용증명이 오가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사실상 현산이 아무 얘기도 안 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당장 구주 매각대금 3200억원으로 그룹 재건에 나서려던 금호산업 측도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현산이 결국 아시아나항공 인수에서 손을 떼게 되면 에어부산 등 계열사와의 분리매각이나 채권단 관리 등의 '플랜B'가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코로나19로 업황이 어려운 만큼 당장 아시아나항공의 재매각을 추진하기보다는 구조조정 등을 통해 몸집을 줄인 뒤 시장에 다시 매물로 내놓는 방안이 검토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처럼 지난해 말부터 업계 안팎의 관심을 끌었던 항공사 M&A가 모두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업계 재편에도 차질이 빚어지게 됐다.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업계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유동성 위기가 고조된 탓이다.

    실제 6월 국제선 여객은 전년대비 97% 이상 줄어든 상황으로, 각국의 코로나19 확산세가 멈추지 않고 있어 당분간 급격한 업황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도 2023년까지 2019년 수준의 항공 수요를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양측 모두 향후 계약 파기 책임과 계약금 반환 등을 놓고 법정다툼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의 선결조건 미이행으로 계약해제 조건이 충족됐다고 밝혔으나, 이스타항공은 선결조건이 모두 완료됐다며 제주항공에 계약완료를 위한 대화를 요구하고 나서는 등 여전히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현산과 금호산업도 선결조건을 놓고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산이 채권단에 서면으로 논의를 진행하자고 제시한 것이나 금호산업이 계약종결을 촉구하는 내용증명을 보낸 것 모두 향후 계약금 반환 등을 둘러싼 소송전에 대비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