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대안이 없다… 주식시장도 반응투자 위축·비용절감 등 구조조정 불가피운수권 배정 등 공정성 시비 불거질 수도
  • ▲ ⓒ아시아나항공
    ▲ ⓒ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의 국유화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무산 위기의 M&A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HDC현대산업개발의 인수 포기 시 금융당국이 아시아나를 국유화하는 가능성을 염두하고 있다고 밝혀, 그 배경과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28일 아시아나 딜 무산 시 국유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모든 가능성을 다 감안해서 관계기관과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으로 금융당국의 플랜B가 아시아나의 국유화일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면서 주식시장에서 아시아나 주가는 20% 이상 급등했다. 사태가 커지자 금융위는 원론적인 답변이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M&A 무산 위기에서 그나마 대안일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재실사를 요청하면서 사실상 인수 포기 수순을 밟고 있는 HDC현대산업개발의 움직임을 봤을때 금융당국이나 정부 차원에서 플랜B를 고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HDC가 딜 계약을 해제할 경우 가능한 시니라오는 ▲금호아시아나그룹 계열사로 돌아가기 ▲재매각 ▲정부 개입으로 국유화 등이다.

    현실적으로 금호아시아나그룹이 다시 떠안는 것은 재무적 부담이 너무 커서 불가능하다. 재매각을 시도하는 것도 무의미하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영환경이 악화됐고, 항공산업이 초토화된 상황에서 새로운 인수희망자가 나설 가능성이 희박해서다.

    때문에 임시 방편으로 정부가 떠안은 뒤 향후 재매각하는 방안이 가장 유력해 보이고, 시장도 긍정적으로 반응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렇게 될 경우 아시아나항공도 대우조선해양, HMM(현대상선) 같은 처지가 되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 방식이 정답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나온다.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지만, 여러가지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어서다.

    우선 국유화가 되면 신형 항공기 도입 등 대규모 투자가 위축될 수 밖에 없고, 오히려 항공기를 반납하거나 매각하는 등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란 지적이다. 이러는 과정에서 글로벌 항공사들과의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아시아나항공 입장에서 정부의 우산 밑으로 들어가 코로나19 소나기를 피해가는 것도 나쁘지 않지만, 비용절감은 물론 금융논리에 따른 경영정상화 가시밭길을 감수해야 하는 측면도 있다.

    물론 HMM처럼 정부의 대규모 지원으로 경영정상화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공적자금 특혜 논란이 초래될 수도 있다.

    특히, 항공은 주무부처인 국토부 관리감독하에 이뤄지는 규제산업이다. 운수권 배정 같은 첨예한 사안이 있을 경우 아시아나항공에 유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하루 빨리 아시아나를 정상화 시키기 위해 알짜 노선을 몰아서 배정할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 경우 대한항공을 비롯한 다른 항공사들은 피해를 볼 수 밖에 없고 공정성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을 넘기 위해 아시아나 국유화는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것에 공감하면서도 여러가지 문제점이 초래될 수 있다”며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