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64개 공시대상기업집단 2292개 계열사 주식소유현황 공개기업집단 내부지분율 57.6%, 전년대비 1.0%p 감소사익편취규제 사각지대 회사 51개 집단 소속 388개사 ‘12개 증가’
  • ▲ 64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은 57.6%로 59개 집단 58.6% 대비 1.0%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데일리 DB
    ▲ 64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은 57.6%로 59개 집단 58.6% 대비 1.0%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데일리 DB

    계열사 출자를 통해 총수일가가 전체 기업집단을 지배하는 관행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위는 31일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된 64개 기업집단(소속회사 2292개사)의 주식소유현황을 공개했다.

    이중 총수일가가 보유한 회사지분은 55개 집단의 2114개 계열사중 19.8%인 419개였다. 해당 회사의 총수일가 평균지분율은 10.4%로 전체 2114개 계열사를 포함하면 3.6%에 불과했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높은 기업집단은 한국타이어(47.3%), 중흥건설(35.1%), KCC(34.8%), DB(29.5%), 부영(23.1%) 순이었다.

    반면 지분율이 낮은 기업집단은 IMM인베스트먼트(0.2%), SK·현대중공업(각 0.5%), 금호아시아나(0.6%), 하림(0.8%) 순이다.

    총수일가가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는 회사는 32개 집단 소속 80개사(3.8%)로 전년 84개사보다 4개사 감소했고 총수일가 지분이 없는 계열사는 55개 집단 소속 1695개사(80.2%)로 집계됐다.

  • ▲ 전체 공시대상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 현황 ⓒ공정위 자료
    ▲ 전체 공시대상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 현황 ⓒ공정위 자료

    전체 64개 공시대상 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은 57.6%로 지난해 59개 집단, 58.6%보다 1.0%p 감소했다.

    내부지분율은 계열회사 전체 자본금중 동일인 및 친족, 임원, 계열회사 등 동일인 관련자가 보유한 주식가액 비중을 의미한다.

    총수있는 집단의 내부지분율은 57.0%로 지난해보다 0.5%p 감소했다. 총수는 55개 집단소속 235개 계열사에 대해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회사들에 대한 총수의 평균 지분율은 10%였다.

    총수 지분율이 높은 기업집단은 중흥건설(24.2%), 부영(21.6%), 아모레퍼시픽(19.0%), DB(18.8%), 셀트리온(17.0%) 순이며 지분율이 낮은 기업집단은 대림(0.004%), SK(0.03%), 태영(0.04%), IMM인베스트먼트(0.1%), 삼성(0.3%) 순이다.

    총수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계열사는 부영(3개), 코오롱(2개), 카카오·효성·HDC·KCC·SM·네이버(각 1개) 등 8개 집단 소속 11개사 였다.

    총수 2세(동일인의 자녀)는 38개 집단 소속 184개 계열회사에 대해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지분율은 4.9%였다.

    2세의 지분율이 높은 집단은 한국타이어(39.4%), 효성(15.0%), DB(10.3%), 동원(9.7%), 중흥건설(9.2%) 순이다.

  • ▲ 총수있는 55개 집단 내부지분율 현황 (단위: %, %P)
ⓒ공정위 자료
    ▲ 총수있는 55개 집단 내부지분율 현황 (단위: %, %P) ⓒ공정위 자료

    전체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2292개사중 상장사는 281개(12.3%)로 이들의 자본금 규모는 약 69조 2000억원(48.0%)이었다.

    이중 55개 총수있는집단소속 2114개사중 상장사는 256개(12.1%)며 자본금규모는 약 59조원(49.3%)에 달했다.

    한편 ‘총수일가 보유지분이 20∼30%미만인 상장사’ 등 사익편취규제 사각지대 회사는 51개 집단 소속 388개사로 지난해 48개 집단, 376개보다 12개사 증가했다.

    사각지대 회사를 가장 많이 보유한 집단은 효성(32개), 호반건설(19개), GS·태영·넷마블(각 18개), 신세계·하림(각 17개) 순이며 롯데, 한국투자금융, 네이버, 장금상선 등 4개 집단은 사각지대 회사를 보유하지 않았다.

    성경제 공정위 기업집단정책과장은 “총수일가가 4% 미만의 적은 지분으로 계열사 출자 등을 활용해 기업집단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며 “총수일가 사익편취규제의 사각지대가 확대되고 있고 공익법인이나 해외계열사 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지배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는 사례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해에 비해 공익법인이 출자한 계열회사, 해외계열사가 출자한 국내 계열회사, 금융보험사가 출자한 비금융 계열회사 수가 모두 증가하면서 우회출자를 활용한 총수일가의 지배력 확대 우려 또한 커지고 있어 제도개선 필요성이 확인됐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