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동의율 높은 장위9구역 찾아 사업설명회인허가 간소화로 5년내 2300가구 탈바꿈 제시LH관계자 "일부직원 비리 잘못, 투명성 보장할것"
  • 한국주택도시공사가 공공재개발 추진 속도를 올리고 있다. 선도사업지 선정 지역 주민들에게 투명성을 약속하는 등 사업 동력 구축에 힘쓰는 분위기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LH공공재개발부는 지난 8일 장위 10일 서울 장위9구역을 찾아 1차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지난달 말 서울 공공재개발 2차 후보지 16곳을 발표한 지 불과 열흘만에 시범 사업지로 달려간 셈이다.

    장위9구역은 이번 공공재개발 공모에서 주민 동의율(68%)을 높게 충족한 지역이다. 지하철 6호선 돌곶이역 인근 역세권이며 장위 1·2
    ·5·7구역은 정비사업에 성공해 새 아파트로 탈바꿈했고, 3·4·6·10·14구역 역시 민간재개발 단계를 밟고 있다. 장위뉴타운 일대 개발사업이 한창인 만큼 장위 9구역 주민들도 공공재개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LH도 다른 사업지는 제쳐두고 주민동의율이 높은 장위9구역을 찾아 주민 눈도장을 찍은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국토부는 1차 공공재개발 후보사업지(8곳)를 발표했으나 분담금, 주민 반대에 부딪히며 사업설명회를 개최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주말 장위9구역을 찾은 LH 공공재개발팀은 장위9구역 선정 배경과 사업 인센티브와 세부사업절차 등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용적률 120% 상향, △분양가상한제 제외를 통한 사업성 보장 △신속한 인허가 추진 △사업 장기화 방지△인허가기간 단축 혜택 뿐만 아니라 재개발사업 관련 세입자 이주도 보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오는 5월 추정분담금을 검증하고 6월 2차 주민설명회 때 추정분담금, 건설계획을 공유한뒤 7월 주민 동의율을 확보해 9월 사업시행 약정체결, 12월 정비구역지정을 신청한다는 로드맵도 공개했다. 오는 2022년 상반기에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정비구역 지정, 이르면 2026년 착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분담금과 조합원 감정가, 기부채납비율 등 다양한 질문이 활발하게 제기됐다. 

    아울러 LH직원 땅투기 사태 이후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가 추락했는데 믿고 사업을 추진해야하는가에 대한 질문도 제기됐다. 현재 장위9구역 내에는 공공재개발을 추진하는 이들과 이를 반대하는 비상대책위원회가 존재하는데, LH사태 이후 공공재개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대되고 있어서다.

    LH관계자는 임직원 일부의 도덕적 해이 관련 잘못을 인정하고 신뢰성을 보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1만명이 되는 직원 가운데 일부의 일탈이었으며, 특히 비리는 택지사업 관련 부서에서 발생했다"며 공공재개발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공공재개발 관련 기록은 전산화돼 시스템적으로 이뤄지고, 국정감사도 받아야 한다"며 "개인의 일탈이나 비위가 개입될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다만, LH의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업계에서는 사업 추진이 쉽게 진행되긴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공공재개발 사업을 정식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주민 동의를(3분의 2이상 충족) 얻어야하는데 LH사태로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장위9구역 주민들의 의견도 엇갈린다. 2300가구를 새로 짓는데 있어 간소한 인허가 절차, 빠른 사업 속도, 저렴한 이주비 이자(1.8%)에 긍정적인 입장과 공공기관에 대한 불신, 불명확한 토지거래허가 조건을 이유로 불신하는 시선이 부딪히고 있다.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은 LH가 공공재개발 사업 성사의 키는 주민들이 쥐고 있기 때문에 신뢰 회복과 강력한 보상체계를 제시해야한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공공재개발 사업 추진에 있어 전산화 등을 이야기했는데 향후 토지거래나 일반분양 등의 과정에서 LH직원들이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해야한다"며 "토지주가 납득할 수 있는 보상규모, 보상절차를 설명하는 것도 신뢰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