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소 정책 상용차 집중, 관련 로드맵 재구성넥쏘 후속모델 개발 연기, 수소트럭 개발·수출 중점“상용차 중심 정책방향 전환 바람직”
  • ⓒ현대자동차
    ▲ ⓒ현대자동차
    정부 정책에 따라 급속도로 추진하던 수소차 관련 정책이 상용차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는 올해 수소차 1만6920대에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1080대 줄어든 규모다.

    문재인 정부는 2019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수소자동차 보급을 비롯한 수소생산과 충전소 확대 등 종합 계획을 발표하며 활성화 드라이브를 걸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로드맵에 따른 성과는 자동차 판매 대수는 물론, 충전소 개수도 총 229기로 목표치 310기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지난해 보급된 수소차는 총 1만 256대로, 보조금 지원 대상인 1만8000대의 57% 수준이다. 누적 보급실적은 총 2만9733대이며, 지난해까지 로드맵상 보급 목표인 6만7000대의 절반 이하다.

    이는 정부의 친환경차 정책이 수소차보다는 전기차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차량용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충전량과 주행거리가 늘어났고, 충전시설 의무설치 대상이 법제화를 통해 확대되는 등 편의성이 높아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기차는 누적 판매 약 39만대로 전년 대비 68.4% 증가했고, 충전소는 20만기를 넘어섰다.

    수소차 관련 정책은 차량 특성에 따라 승용차보다는 상용차에 중점을 두는 모습이다. 올해 환경부의 수소차 보조금 지급 대수 중 상용차의 지원 대상 물량은 지난해 340대에 2배 이상 늘어난 920대로 책정됐다.

    정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위해 수송 부문의 탄소절감이 중요하며, 수소상용차 보급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르면 교통부문은 2018년 배출량 9810만톤 대비 37.8%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탄소감축 효과가 큰 사업용 차량 50만대의 전기·수소차 전환을 추진하는 데 있어, 충전시간 단축이 중요한 상용차에 수소차를 적극 배정한다는 취지다.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11월에 발표한 ‘수소경제 정책 방향’도 상용차를 중심에 뒀다. 수소 상용차를 2030년까지 3만대를 보급하고, 액화수소충전소는 70개소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수소차 개발과 상용화에 독점적 지위를 가진 현대차의 전략도 정부 정책에 맞춰 수정·연기되는 상황이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 수소차 13만대를 생산할 계획이었으나 속도조절이 불가피해졌다. 2021년 발표한 ‘수소비전 2040’에 따르면 2018년 출시한 넥쏘의 후속모델 개발을 올해로 예고했으나, 미뤄지는 모양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신년사에 수소차와 관련한 비전이 누락된 것도 이러한 상황과 궤를 같이한다. 업계에서도 수소차 시장이 연료전지 특성상 승용차보다는 상용차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기술 개발과 사업 방향도 상용차 중심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현대차는 글로벌 수소경제 리더십을 바탕으로 해외 사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글로벌 수소차 판매 대수는 총 1만8457대로, 이중 현대차 넥쏘가 1만700대로 58.0%를 차지한다.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엑시언트 수소트럭을 앞세워 해외 공급처를 확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소차의 정책 방향을 상용차 중심으로 바로잡은 것은 바람직하다고 설명한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수소차는 비즈니스모델이 되기에는 해결 과제가 너무 많기 때문에 해외 제조사들도 못 만드는게 아니라 안 만드는 것“이라며 ”30억씩 드는 수소충전소와 대당 3500만원의 보조금을 정부에서 세금으로 계속 충당하기는 어렵다. 상용차 중심으로 정책 전환은 정확한 방향“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