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자유특구 기업 19개 포함최신정보 제공·제안서 작성 등 자문최근 3년간 총 85개 기업 지원
  • ▲ 산업통상자원부.ⓒ뉴데일리DB
    ▲ 산업통상자원부.ⓒ뉴데일리DB
    정부가 중소·중견기업이 개발한 신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지원하기 위해 기업과 전문가를 1대1로 연결하는 맞춤형 서비스에 나선다. 표준화에 대한 경험 부족으로 국제시장을 선점하지 못하고 성장 기회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막기 위해서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은 23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중소·중견기업 국제표준화 지원 프로그램 협약식'을 진행했다. 이날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35개 기업과 국제표준 전문가들이 협약을 맺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은 관련 정보와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신기술을 국제표준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국표원은 지난 2020년부터 '국제표준화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총 85개 기업의 국제표준화를 도왔다.

    올해 국표원은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사전 설문조사를 벌여 수요를 발굴했다. 총 52개 신청기업 중 규제자유특구 내 기업 19개를 포함해 총 35개 기업을 선정했다.

    국표원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를 위촉하고 기업과 전문가를 1대1로 연결해 준다. 위촉된 전문가는 최신 국제표준 정보 제공은 물론 국제표준 제안서 작성 자문 등 기업의 국제표준화 활동을 맞춤 지원하게 된다.

    진종욱 국표원 원장은 "중소·중견기업의 신기술이 국제표준이 되고 해외 경쟁력 강화와 수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게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