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사망사고 방지… 권역별 대응 복지부, 2차 심뇌혈관 종합계획 확정 내년부터 3년간 시범사업 실시네트워크 당 '최대 11.7억' 별도 수가
  • ▲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부족 현상은 소위 '응급실 뺑뺑이'로 이어져 골든타임이 지나 환자의 사망으로 이어진다. 결국 한정된 인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선결과제로 꼽혔고 이를 위해 병원을 경계를 허무는 '권역별 의사 네트워크' 구축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등 관계부처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23~2027년)을 확정해 발표했다. 

    지난 1차 종합계획(2018∼2022년)은 예방관리 대책 위주로 마련돼 중증·응급 진료체계 지원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심근경색 120분, 뇌졸중 180분 등 적절한 치료를 하면 사망을 예방할 수 있지만 해당 시간 내 응급의료기관에 도착할 확률은 절반 수준이었다. 

    생명권과 직결된 중차대한 문제를 풀기 위해 권역 내 전문의들이 직접 소통해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신속하게 정할 수 있도록 인적 네트워크 구성이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 네트워크 당 '최대 11.7억' 별도 수가 지급

    내년부터 심뇌혈관 질환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권역별 네트워크 내 전문의 간 직접 소통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치료 가능한 전원·이송 병원을 결정하게 된다. 

    인력 기준은 심뇌혈관질환전문의와 응급의학전문의, 흉부외과 전문의 등 최소 7인 이상으로 구성해 대응하기로 했다. 

    각 네트워크에는 별도로 수가를 배정해 지원한다.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은 미리 100% 지급하고 운영 성과에 따라 사전 보상비의 최대 40%까지 추가 보상한다.

    참가자 중에는 총괄책임자(PI)가 네트워크 전반을 운영하는 자율적인 형태다. PI는 팀 내 기여도 등을 자체 과정평가를 실시해 내부 정산과 추가보상비를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시범사업은 2024년 1월부터 3년간 운영된다. 

    네트워크당 최소 5억7000만원에서 최대 11억7000만원까지 별도로 수가를 지급 받는다. 권역심뇌혈관센터에는 최대 4억5000만원, 참여병원에는 최대 2억3000만원을 지급하며, 이를 위한 건보 재정은 연간 60억원이 투입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당장 최소 30개의 네트워크를 꾸릴 수 있다"며 "전국의 24개 심뇌혈관질환 의료권역에 권역별 센터 1곳 또는 네트워크 1개 이상을 선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밝혔다.

    이어 "이 시범사업이 시행되면 응급 심뇌혈관질환 환자가 발생했을 때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 사망률을 낮추고 병원을 찾아 도는 뺑뺑이 현상도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은 '24시간 어디서나 심뇌혈관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일상'을 목표로 다각적 방면에서 개선안이 마련된다. 

    인적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포함해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확대, 국립심혈관연구소·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 설립, 고위험군 재진환자 핫라인 구축 등이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