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디바이스 무관 ‘페어링’ 서비스 출시AI 기능 고도화, 개인 맞춤형 독서 혁신“전자책 외 영역 내년 성과 가시화”
-
KT 미디어 계열사 밀리의서재가 독서 환경에 구애받지않는 ‘페어링’을 도입하고 AI와 대화를 나누는 기능을 추가해 이용자 독서 경험을 고도화한다. 전자책 구독 서비스에서 독서 라이프 플랫폼으로 전환하며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되겠다는 포부다.밀리의서재는 5일 간담회를 통해 독서 라이프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비전을 제시하고 신규 서비스를 선보였다.박현진 밀리의서재 대표는 전통적 독서 방식을 넘어선 새로운 시대의 독서를 제시하며, 독서 라이프 플랫폼으로 도약을 선언했다. 밀리의서재는 2017년 전자책 구독 서비스를 선보인 이후 누적 가입자 820만명, 콘텐츠 20만권을 보유하고 있다.박 대표는 “이제 전자책 구독 서비스 시장의 리딩 기업을 넘어 독서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도약할 차례”라며 “멀티디바이스 시대에 맞춰 독서를 일상과 연결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이성호 독서당 본부장은 연결 경험 확대에 초점을 맞춘 신규 서비스 ▲밀리 페어링 ▲독서 기록 ▲필기 모드를 소개했다. 이 본부장은 “일상과 독서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독서 연결 경험을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며 “독서가 일상에 페어링되듯 동기화되도록 설계했다”라고 서비스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밀리 페어링은 종이책, 전자책, 차량, 오디오북, AI TTS 등 다양한 독서 형태를 끊임없이 연결한다. 기존에는 오디오북에서 전자책으로 전환 시 구절을 수동으로 찾아야 했지만, 밀리 페어링을 통해 독서 환경이나 디바이스가 바뀌어도 자유롭게 독서를 이어갈 수 있다.전자책 뷰어에서는 ‘읽기 모드’와 오디오북과 AI TTS를 선택 가능한 ‘듣기 모드’를 지원한다. 오디오북 감상 중에는 차량 오디오와 연동해 자동차에서도 들을 수 있다. 읽고 싶은 전자책은 종이책 바코드 인식으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페이지 검색을 통해 원하는 지점부터 이어 읽기가 가능하다.독서 기록 서비스는 온·오프라인 독서 활동을 통합 관리한다. 필기 모드는 모든 전자책에서 자유로운 필기를 지원한다. 모든 필기 기록은 별도 저장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밀리의서재는 AI TTS와 AI 페르소나 챗봇에서 한층 진화된 AI 기반 독서 서비스의 로드맵을 공개했다. 2025년 1분기 출시를 목표로 ‘AI 독파밍’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서비스에 활용하는 AI는 MS 애저나 챗GPT 생성형 AI 모델이 적용된다.방은혜 AI 서비스 본부장은 “지금까지는 더 잘 고르고 잘 읽고 기록하게 하는 독서 경험의 개별적인 강화를 추구해왔다”며 “앞으로는 독서 경험 전반을 혁신하는 대화형 A 독서 메이트라는 모습을 보여드리려고 계획 중”이라고 설명했다.AI 독파밍은 AI 챗봇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며 독서하는 대화형 서비스다. 독자는 AI와 책의 내용에 대해 자유롭게 대화하며, AI는 도서 내용을 기반으로 답변한다. 향후에는 본문 내용 외에도 소통하는 AI 기반 대화형 독서 서비스로 진화해 나갈 계획이다.한편, 실적 대비 시장 평가가 저평가됐다는 질문에 대해 박 대표는 “재무지표 상으로 매년 30% 이상 성장하는 형태를 지속하려고 한다”며 “독서 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다른 성장 영역들을 내년부터는 가시적 성과로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