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불안 장기화 조짐… 불신 확산 차단 소통 강화5대 금융에 해외 네트워크 적극 활용 주문“밸류업 등 정책 일정 이상무”… 일관성 강조
-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9일 5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NH농협) 회장들에게 “금융지주사는 대외신인도 측면에서 최전방”이라며 “외국계 금융사·투자자 등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각 지주사의 안정성은 물론 우리 금융시스템의 회복력에 대해 적극 소통해 달라”고 주문했다.김병환 위원장은 이날 오전 8시 30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상황 점검회의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말했다.이번 회의에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5대 금융지주회장, 은행연합회장, 금투협회장을 비롯해 IBK기업은행장,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KDB산업은행 수석부행장 등이 참석했다.국내 정치적 불안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금융당국이 비상계엄 사태 초기부터 이어오던 금융시장 점검회의를 금융지주 등으로 확대한 것이다.김 위원장은 “저와 금융감독원장을 포함한 금융당국은 금융시스템 안정과 금융부문의 대외신인도 유지를 위해 흔들림 없이 주어진 책무를 다해 나가겠다”면서 금융지주 회장들에게 적극적인 해외 네트워크 소통을 당부했다.지난 주말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폐기됐으나 야당이 탄핵안 가결까지 반복 추진을 선언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외국인 자본 이탈이 오히려 거세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한 은행 딜링룸 관계자는 “탄핵 정국이 길어지면 계엄 당시 군인들의 모습과 대규모 집회 등이 매 주말마다 외신에 노출돼 한국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신용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미 계엄사태 이후 외국인 비중이 높은 은행주들은 주가 급락을 거듭하고 있다.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다음날인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KB금융 주가는 15.7%, 신한지주 9%, 하나금융지주 7.88%, 우리금융지주 5.87% 하락했다.정치적 혼란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기업들의 기존 정책 이행에 대한 의구심 등이 외국인들이 자금을 회수하고 있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주가 지금껏 선진적인 자본정책을 제시하지 못했던 것은 애초에 회사의 능력이나 의지 때문은 아니었다”면서 “연중 발표된 주주환원 정책을 원안대로 이행하지 못할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는 충분히 합리적”이라고 말했다.계엄 사태 초기 한국 신용등급 영향을 제한적으로 봤던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의 시선도 변화하는 모습이다.지난 6일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정치적 위험 장기화로 한국의 신용도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평가했고, 무디스도 이번 사태가 적시에 해소되지 않으면 정부 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김 위원장은 이 같은 시장 불신이 확산되지 않도록 금융정책 현안에 대한 일정과 계획을 기존에 알린 대로 일관되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김 위원장은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조치, 불법공매도 근절을 위한 시스템 구축, 인터넷전문은행 추가 인가 등 기 발표한 정책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소상공인 자영업자에 대한 금융부담 완화, 실손보험 개혁 등 12월 중 발표하기로 한 대책도 일정대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와 함께 금융시스템 안정과 금융부문의 대외신인도 유지를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그는 “어제(8일) 경제관계장관회의 등을 통해 최근 정치상황에 따른 불확실성 속에서도 경제팀이 총력을 다해 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씀드렸다”며 “이런 기조 하에 금융당국은 금융시스템 안정과 금융부문의 대외신인도 유지를 위해 흔들림 없이 주어진 책무를 다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