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직교 통합 유니-멀티캐스트 전송' 기법 개발트래픽 문제 해결, 전력 자원까지 효율적으로 활용"6G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 구현 새 가능성 열어"정보통신기술 분야 저명 학술지 'JSAC'에 게재
-
고려대학교는 전기전자공학부 신원재 교수 연구진이 6G(6세대)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를 위한 혁신적인 통신 원천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연세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공동 참여했다.공동 연구진이 개발한 '유니-멀티캐스팅 동시 전송 기술'은 저궤도 위성 통신 환경에서 주파수, 시간, 전력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개인화된 콘텐츠뿐 아니라 방송, 재난 문자와 같은 공용 콘텐츠를 동시다발적으로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6G는 기존 지상 네트워크를 넘어 비지상 네트워크를 통합해 높은 연결성을 제공한다. 저궤도 위성 통신시스템은 넓은 지역에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면서도 낮은 통신 지연시간과 고속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춰 6G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다만, 저궤도 위성은 현재 6G 시대에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수요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이 극히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
공동 연구진은 동일한 주파수와 시간 자원을 활용해 개인 콘텐츠와 공용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비직교 통합 유니-멀티캐스트 전송'(Non-Orthogonal Uni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 기법을 개발했다. 이는 트래픽 요구량과 제공 트래픽 간 차이를 최소화해 전력 자원까지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통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연구진은 해당 기술의 성능 최적화를 위한 조건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낮은 계산 복잡도를 가진 알고리즘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저궤도 위성의 제한된 통신 탑재체 컴퓨팅 자원으로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개인‧공용 콘텐츠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충족하는 기반을 마련했다.신 교수는 "유니캐스팅과 멀티캐스팅 서비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은 기존 위성 네트워크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 중요한 성과"라며 "6G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 구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에서 발간하는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저명 학술지 'JSAC(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에 이달 게재됐다. 또한 ‘2024년도 6G 원천기술 페스티벌’에서 우수상을 받았다.이번 연구에는 신 교수가 교신저자, 성재협 박사과정이 제 1저자, 박주하 석사과정과 연세대 박정훈 교수, ETRI 정동현 선임연구원이 공저자로 각각 참여했다.이번 연구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