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칩스법 보조금 지급 유예 시사“직접 계약 검토… 이행 약속 못해” 언급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 '비상'
  • ▲ 삼성전자 미국 테일러시 공장 건설 현장ⓒ삼성전자
    ▲ 삼성전자 미국 테일러시 공장 건설 현장ⓒ삼성전자

    미국 트럼프 2기 정부가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유예를 시사하며 국내 기업에도 비상이 걸렸다.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들이 받기로 한 보조금을 이번 정부가 다시 검토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앞서 바이든 전 대통령과 보조금 계약을 마친 국내 기업들도 최종적인 지급 여부가 불투명해지며 불안감에 휩싸였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후보자는 29일(현지시간) 상원 인사 청문회에서 “(반도체 보조금 지급에 대해) 말할 수 없다. 내가 읽지 않는 한 이행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반도체 보조금 정책을 두고 “반도체 제조의 주도권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오기 위한 착수금”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그것들을 제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 또한 바이든 전 대통령의 입법 성과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법 등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SK하이닉스, 삼성전자도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각각 파운드리, 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 중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말 각각 미 상무부로부터 47억4500만 달러, 9억5800만 달러의 보조금 지급을 약속 받았다.

    다만 백악관이 이틀 만에 보조금 집행 중단 지시를 철회하며 정치적인 제스처에 그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앞서 매슈 배스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 대행은 ‘반도체(CHIPS) 인센티브 프로그램’ 등의 금전 지원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으나 발표 이틀 만인 29일(현지시간) 이를 철회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도 보조금 지급이 무산되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지만 바이든 전 대통령 정부와 이미 계약을 맺은 사항이기에 정권이 바뀐다고 해서 지급을 무산시킬 수는 없을 것”이라며 “TSMC 등 글로벌 기업은 이미 일부 보조금을 지급 받은 것으로 안다. 한국 기업들 또한 이미 공장을 착공하고 투자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곧 보조금 지급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