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8차 교섭에서 레미콘 단가협상 결렬건자회 3.7% 인하, 레미콘업계 1.5% 인상 평행선건설경기 부진, 위기 심화로 타결 난항
  • ▲ 건설업계와 레미콘 업계가 레미콘 단가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서울 시내 레미콘 공장 모습. ⓒ뉴시스
    ▲ 건설업계와 레미콘 업계가 레미콘 단가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서울 시내 레미콘 공장 모습. ⓒ뉴시스
    건설 업계와 레미콘 업계가 4개월간 레미콘 단가 협상을 벌였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로 인해 양측 모두 양보할 여력이 없는 점이 협상 결렬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건설재직자협의회(건자재)와 수도권 레미콘 업계는 지난해 11월부터 레미콘 단가 협상을 진행해왔다. 

    양측은 이달 12일 8차 교섭을 가졌지만 의견 차이만 확인했다. 양측은 더 이상의 대화는 무의미하다고 보고 당분간 협상을 중단키로 했다. 

    현재 수도권 레미콘 단가는 ㎥당 9만3700원이다. 지난해 12월 열린 3차 교섭에서 건자회는 ㎥당 5500원(5.8%) 인하, 레미콘 업계는 ㎥당 3000원(3.2%) 인상을 주장했다. 

    이후 7차 교섭에서 건자회는 ㎥당 3500원(3.7%) 인하를 요구했고 레미콘 업계는 ㎥당 1400원(1.5%) 인상을 제시했다. 양측 모두 기존에 비해 진전된 안을 내놓았지만 협상 타결에는 이르지 못했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예전에는 양측 모두 단가 인상에는 동의하는 전제 하에 인상 폭을 두고 협상을 했다”면서 “그래서 타결까지 오래 걸리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단가 인하와 인상으로 갈리면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답변했다.  

    건설 업계는 수 년간 업황 부진과 위기 심화로 인해 레미콘 가격은 물론 시멘트 가격도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레미콘 업계는 “업황 악화가 지속되면서 양보할 여력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건자회와 레미콘 업계는 의견 차이를 확인한 만큼, 당분간 냉각기를 가질 것으로 관측된다. 양측이 요구하는 단가 차이가 8500원에서 4900원으로 줄어들었다는 점에서 향후 타결 가능성도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