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전 재고 확보 수요에 가격 회복세 빨라져한달새 13% 넘게 올라 … 고정거래가도 상승 예고반도체 품목관세 최대 변수로 … 가격 사이클 짧아지나
  •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반도체 생산라인 모습 ⓒ삼성전자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반도체 생산라인 모습 ⓒ삼성전자
    메모리 D램 가격이 상승 전환하며 기대보다 빨리 '메모리의 봄'이 도래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린다. 다만 미국 트럼프 정부가 상호관세에 이어 반도체를 품목관세 제품으로 목록에 올릴 가능성이 높아 메모리 업턴 주기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7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범용 D램인 'DDR4 8기가비트(Gb) 2666'의 현물 가격이 지난 3일 기준 1.951달러로 집계됐다. 지난달 3일 기준 1.722달러로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던 DDR4 가격이 한 달만에 13.3% 인상된 셈이다.

    D램 현물 가격은 반도체 제조사와 유통 대리점 간의 거래액을 뜻한다. 이때 거래된 가격이 통상 4~6개월 후 대리점과 고객사 간의 거래 가격에 반영되는데 이것을 고정거래가격이라고 부른다.

    D램 고정거래가격도 연초 이후 안정세를 되찾으면서 이번 달에는 상승 기조로 전환될 기미도 엿보인다. PC용 DDR4 8Gb고정거래가격은 지난해 11월 이후 1.35달러 안팎에서 움직이다가 지난달엔 보합세를 나타냈다.

    D램가 인상 분위기는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거대 시장의 정책적 변화가 빚은 결과물이라는 분석이다. 미국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기본 관세를 포함해 국가별 상호관세 정책을 추진하는데 더불어 품목관세까지 전방위로 관세 정책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이 연초부터 굳어지면서 반도체 시장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도체 수요처들이 관세가 시행되기 전 재고를 미리 확보하는 차원에서 단기간 물동량이 증가했고 잠잠했던 메모리 수요를 자극했다는 해석이다.

    더불어 중국은 미국의 강도 높은 규제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의 관세까지 예고되는 상황에서 내수시장을 진작하기 위해 '이구환신'이라는 정책 카드를 꺼내들었다. 스마트폰이나 PC, IT 기기 등의 구형 모델을 신형으로 바꾸는 소비자들에게 일종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소비 진작책이 시행되면서 특히 스마트폰용 메모리 수요가 크게 반등한 것이다.

    이 같은 시장 분위기 변화에 D램 시장은 조용히 업턴으로 돌아설 채비를 마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도체업계와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지난해만 해도 올 하반기는 돼야 메모리 시장 분위기에 반전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미 1분기부터 가격 회복 시그널이 강력해지면서 2분기부터는 메모리 가격 상승은 물론이고 제조사들의 일부 실적 회복세까지 기대해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의 품목관세가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난 3일(미국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향하는 전용기 내에서 취재진들과 만나 "반도체 관세는 곧 시작될 것"이라며 사실상 도입을 공식화했다.

    반도체는 1997년 세계무역기구(WTO)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회원국 간에는 무관세를 적용받는 분야였다. 이를 깨고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에 세금을 부과하기 시작하면 반도체 공급망 전체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PC를 비롯한 전통적인 반도체 수요처는 물론이고 최근 반도체 시장 최대 수요처로 떠오른 AI(인공지능) 서버시장에도 비상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선 반도체 품목관세가 시행될 경우 스마트폰 가격은 최대 37%, 노트북은 68% 가량 소비자 가격이 올라갈 가능성도 제시할 정도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들도 가까스로 되찾은 메모리 상승 사이클이 관세 영향으로 이전에는 볼 수 없던 패턴으로 바뀌거나 예년보다 훨씬 짧아질 수 있다는 리스크에 주목하고 있다. 삼성과 SK는 미국 기업인 마이크론이 관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 직접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특히나 품목관세 향방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