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하에서 기자 간담회 … "절차적 지연일 뿐" 강조"오히려 韓 원전 산업 신뢰 쌓는 전화위복 계기될 것"한전-한수원 UAE 원전 공사비 갈등에는 "상당히 유감"
-
-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7일(현지시간) 체코 프라하에서 산업부 공동취재단과 간담회를 갖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산업부 제공) ⓒ뉴시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체코 법원 결정으로 신규 원전 수주 계약에 제동이 걸린 것과 관련해 "잠깐 절차적으로 지연되는 부분"이라며 "계약이 무산된 것은 절대 아니다"고 강조했다.8일 산업부에 따르면 안 장관은 7일(현지 시각) 체코 프라하에서 산업부 공동취재단과 간담회를 갖고 "당황스러운 일이 발생했지만 시간을 허비하는 지연이 아니라 한국 원자력 산업계의 신뢰를 쌓는 계기를 만들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안 장관은 "이번 기회에 체코 국민들이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 설비가 얼마나 믿을만 하고 안전성과 경제성이 우월한 지 확인하게 된다면 5년 뒤에 테믈린 3·4호기 계약이 있으니까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한수원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될 당시 페트르 피알라 체코 총리가 한수원이 모든 면에서 다른 업체들을 압도했고 입찰서 자체도 퀄리티(품질) 차이가 굉장히 많이 난다고 했다"며 최종 계약 체결에 자신감을 내비쳤다.이어 "200여명이 넘는 전문가가 상당히 오랜기간 정밀하게 평가해서 나온 결과여서 트집잡기 어려운 부분이며 절차적 투명성도 굉장히 조심한 만큼 의심할 부분이 없고 법적인 문제는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안 장관은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해 체코 두코바니 원전 최종 계약에 이르지 못해 아쉬운 마음이 크다"면서도 "비온 뒤 땅이 굳듯이 어려움을 함께 겪고 이겨내는 과정에서 양국간 신뢰관계는 오히려 더욱 굳건해졌다고 생각한다. 조속한 시일 내 본계약까지 마무리할 수 있도록 체코측과 긴밀히 소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정부 특사단은 7일(현지 시각) 두코바니 원전 최종 계약이 연기된 가운데 14건의 정부·민간 분야 협약·MOU를 체결하며 협력 강화 의지를 재확인했다.안 장관은 이에 대해 "체코는 우리나라 80년대 정부라고 보면 된다. 제조업 자산이 있지만 고도화 기술과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로 이번에 인프라를 같이 만들면서 기술을 고도화를 추진하자고 한 것"이라며 "체코와 우리나라는 비슷한 점이 많아서 굉장히 좋은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안 장관은 전날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건설 과정에서 불거진 1조 4000억 원대 추가 비용 분담을 두고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의 분쟁과 관련해선 "원만하게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도우려고 했는데 상당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의사소통이 잘 안된 것에서 시작된 사태로 최대한 빨리 해결될 수 있도록 산업부가 뒤에서 독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