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노와 정책연대, 농협금융 사외이사 포진 … '인사 정치' 우려금융권 중립성 논란 확산 … 금융권, 차기 정권 인사 지형 촉각
-
- ▲ ⓒ쳇GPT
제21대 대선 본선 레이스가 막을 올린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금융권 곳곳에서 영향력을 크게 확대하고 있다. 금융노조와의 정책협약을 통해 ‘정책 연대’를 공식화한 데 이어 농협금융 등 주요 금융기관에 민주당계 인사들이 속속 포진하는 모양새다.금융의 정치화와 중립성 훼손, 더 나아가 “정권 교체 시 금융권 수장 인사 전면 재편” 우려도 커지고 있다.◇노조 통한 외곽 포위 본격화 … 농협금융도 민주당 색깔?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8일 금융노조는 더불어민주당과 정책협약을 체결하며 대선 승리를 위한 연대 행보에 돌입했다. 금융시스템 공공성 강화, 노동 존중 사회 구현, 금융산업 구조 선진화 등 명분을 내세웠다. 그러나 금융권 일각에서는 “노조를 통한 외곽 포위 전략”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내란세력 척결과 대한민국 대전환에 앞장서겠다”며 사실상 민주당의 동지임을 자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상임선대위원장도 “금융노조와 끝까지 함께 하겠다”며 적극적인 협력을 약속했다.농협금융지주의 인사 행보도 금융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달 30일 임시주총을 통해 사외이사로 선임된 송두한 민주금융포럼 상임대표는 민주당 씽크탱크 민주연구원 부원장 출신으로, 2022년 대선 당시 이재명 캠프 공정금융특보단장을 지냈다.농협금융 관계자는 “전직 연구소장 출신이기 때문에 전문성을 고려한 인사”라고 해명했지만, 금융권에서는 “이재명 후보의 대선 승리 가능성에 대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농협금융을 이끄는 이찬우 회장 역시 문재인 정부 시절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을 지낸 관료 출신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전 의원의 친동생이라는 점이 정치적 해석을 낳고 있다.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농협금융 회장은 전통적으로 정권과 지주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해왔다”며 “정권이 교체되면 이 회장의 보폭도 더 넓어질 것”이라고 말했다.◇금융의 중립성과 공정성 훼손 우려 확산금융권 안팎에서는 민주당의 금융권 진입이 공공성 강화라는 명분 아래 정권 친화적 인사 장악으로 이어질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금융의 중립성과 공정성이 흔들리면서 정권 교체 때마다 금융권 수장이 바뀌는 ‘관치 금융’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특히 정책금융기관이 특정 정파의 이해관계에 따라 운영될 경우 금융산업의 신뢰성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노조를 통한 외곽 압박과 사외이사를 통한 내부 포진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며 “금융의 독립성, 중립성은 결국 뒷전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