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아워홈 지분 58.62% 획득, 계약 마무리외식·급식경험 더해 주요 신사업인 '푸드테크' 확장까지 가속화할 듯본격적인 경영승계 … 비즈니스 성과 위한 행보 지속
-
- ▲ 김동선 한화호텔미래비전총괄 부사장ⓒ한화호텔앤드리조트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삼남인 김동선 한화호텔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이 매출 2조원대 급식업체 아워홈을 품에 안았다.김 부사장이 주도한 한화의 아워홈 인수는 지난해 10월부터 약 7개월만에 이뤄졌다. 이번 인수를 계기로 김 부사장은 오래 전부터 공들여온 식음·푸드테크 사업 확장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이날 아워홈 지분 인수를 위한 거래 대금 지급을 완료하고 계약을 최종 마무리했다. 한화가 획득한 아워홈 지분은 전체의 58.62%다. 주식 취득을 위해 투입된 금액만 총 8695억원에 달한다.김 부사장은 오래 전부터 외식사업에 각별히 공을 들여왔다.외식 브랜드 파이브가이즈(에프지코리아)를 시작으로 비노갤러리아, 한화넥스트, 스텔라 푸드테크 등 그가 2년 새 설립·인수를 주도한 자회사만 7개다.특히 지난해 2월 외식부문 자회사 더테이스터블 사명을 '한화푸드테크'로 변경해 출범한 후 외식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현재 한화푸드테크를 통해 ▲63레스토랑(워킹온더클라우드, 터치더스카이, 슈치쿠, 백리향) ▲63뷔페 파빌리온(용산) ▲더 플라자(도원, 세븐스퀘어, 더라운지, 오이스터 배) ▲도원스타일(서울역, 더현대서울, 압구정, 목동, 무역센터, 천호) 등 17개 외식 매장을 운영 중이다.이달 중 한화갤러리아 자회사 베러스쿱크리머리를 통해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브랜드 '벤슨'도 선보일 예정이다.이번 아워홈 인수 배경에는 한화의 30여년 급식 사업 경력도 한몫한다. 한화그룹은 지난 2020년 단체급식업체 푸디스트를 매각하고 관련 사업에서 손을 뗀 바 있다.김 부사장은 다양한 외식사업, 오랜 급식업 경험을 바탕으로 아워홈 경영에 전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아워홈은 단체급식 시장 2위 사업장이다. 단체급식과 외식, 식자재 유통, 식품 제조 등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아워홈은 범LG가로, LG그룹과 GS그룹, LS그룹 등 대기업 단체급식과 식자재 유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한다. 고객사만 4000여곳이다.매출도 고공행진 중이다. 아워홈은 지난해 매출 2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 실적을 냈다.아워홈을 통해 김 부사장의 주요 신사업인 '푸드테크' 확장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김 부사장은 향후 식품산업의 경쟁력은 로봇이나 AI 기술을 접목한 푸드테크 도입 여부가 될 것이라고 판단, 관련한 협력을 강화하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이번 인수를 계기로 단체급식과 푸드테크의 시너지를 본격화할 가능성도 높다.한화호텔 관계자는 "자회사인 한화푸드테크를 통해 외식·연회 등 식음 사업을 꾸준히 해온 만큼 시너지가 기대된다"며 "미래 식음 시장의 핵심 키워드인 ‘푸드테크’ 개발을 통한 주방 자동화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한편 한화그룹은 3월 말 김승연 회장의 한화 지분 인도로 김동관 부회장(방산·조선·에너지), 김동원 사장(금융), 김동선 부사장(유통·로봇·반도체 장비)간 3세 경영승계가 이뤄지고 있다.김 회장은 자신이 보유한 한화 지분 11.32%를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했다. 한화의 지분 구조는 김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으로 재편됐다.업계 관계자는 "김 부사장은 최근 SNS 활동을 중단하며 경영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본격적인 경영 승계와 함께 비즈니스 성과를 내겠다는 행보로 해석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