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예산실장 주재로 부처 실무협의 개최소상공인·AI·지방재정 보강 등 35兆 규모 추경 논의매주 새정부 지원TF 열어 추경 비롯한 정책방향 작성
-
- ▲ 기획재정부. ⓒ연합뉴스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 작업에 착수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 회복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추경을 지목한 데 따른 조치다.5일 기획재정부는 유병서 예산실장 주재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각 부처 기획조정실장 회의를 열고 추경 편성과 관련한 사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전날 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 후속 조치다.이날 회의에서는 2차 추경에 포함될 각 부처의 민생 사업 발굴과 지출 구조조정 방안 등이 주된 논의 대상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5월 통과된 1차 추경이 산불 피해 회복과 통상 지원 등의 '필수추경'이었다면 이번 2차 추경은 경기 부양 목적이 크다.이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제시한 전 국민 지역화폐 지급, 소비 캐시백, 농어업·소상공인 지원, 인공지능(AI)·반도체 등 미래산업 투자, 지방재정 보강 등이 추경안에 담길 전망이다. 침체된 내수 상황에서 정부 재정으로 소비 여력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정부는 이달 중 추경안을 확정하고 7월 초 국회 본회의 통과를 목표로 삼고 있다. 추경 규모는 지난 2월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35조원 안팎'이 정부 편성안의 뼈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앞서 이 대통령은 4일 취임하자 마자 1호 행정명령으로 '비상경제대응 TF' 구성을 지시했다.이후 곧바로 비상경제점검 TF를 주재해 각 부처 차관과 정책 실무자들과 추경 재정 여력과 부양 효과 등을 집중 점검했다. 또 경기·민생 현안 의견을 나누고 적극적 민생 진작 대응과 리스크 관리도 주문했다.이 대통령은 인선 발표 브리핑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당장 바로 시행할 수 있는 경제 회생 정책이 필요하고 그중 가장 핵심은 추경 편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한편, 기재부는 다음주부터 매주 월요일, 목요일마다 1급 실장들과 주요 국장들이 참석하는 '새정부 출범 지원 TF'를 열고 추경 등을 포함한 새 정부 정책을 논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