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수출 3347억달러 … 지난해보다 0.03% 감소대미 수출 3.7% 줄어 …자동차 16.8%·철강 11.2% 급감7월 8일 이후 추가 관세 15% 부과 되면 반도체 등 경제 충격전문가 "이대로 가면 경기 침체, 무역 흑자 줄이고 관세 낮춰야"
-
- ▲ 경기 평택항. ⓒ뉴시스
미국이 제시한 상호관세 유예기간(7월 8일)이 코앞으로 다가오지만 관세 협상이 지지부진면서 유예 기간 전 내놓겠다던 이른바 '줄라이(7월) 패키지' 합의에 대한 불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올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보다 0.03% 감소한 3347억달러에 그쳤고, 특히 대미 수출은 양대 수출품목인 자동차·일반기계의 부진으로 3.7% 감소한 622억달러에 머무는 등 미국발 관세 충격이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이런 가운데 현재 대부분 품목에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했던 미국이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끝난 뒤 15%의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고 엄포를 놓으면서, 현실화할 경우 우리나라 경제에 더욱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수출은 3347억달러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0.03% 감소했다. 대미 수출은 철강·자동차·자동차 부품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3.7% 줄었다.반기(半期) 대미 수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코로나19 초창기인 2020년 상반기 이후 5년 만이다. 품목별로 보면 철강은 대미 수출이 11.2%, 자동차는 16.8% 급감했다.자동차 부품 역시 1.5% 감소했다. 일반기계 수출액도 16.9% 급감했다. 현재 미국은 철강에 50%, 자동차에 25%, 자동차 부품에 25%의 품목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일반기계는 기본 상호관세 10%가 적용된다.이런 상황에서 당초 7월 8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하기로 목표했던 '줄라이 패키지'는 양국 간 협상 난항으로 시한을 넘겨야 할 상황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 이렬 경우 트럼프 미 대통령이 엄포를 놓은 것처럼 추가 상호관세 15%를 부과할 경우 한국 경제에는 치명타가 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가장 우려되는 것은 올 상반기 우리 수출을 지탱해온 반도체에 추가 관세가 붙으면서 수출 증가 폭이 꺽이는 것이다. 반도체는 올 상반기 대미 수출이 733억달러를 기록하며 14.7% 증가했다. 우리 전체 수출의 22%를 차지하는 규모다.6월 반도체 수출액은 '사재기' 효과로 역대 최대인 150억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은 현재 반도체에 대해선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지만, 상호 관세 유예기간이 끝나면 관세가 부과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이 때문에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속도를 내 불확실성을 제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지금까지 미국과 3차례 고위급 관세 협상을 벌였지만, 구체적인 합의에는 도달하지 못한 상태다. 대신 30개월 미만 소고기 수입 제한, 구글의 정밀 지도 반출 제약 등 미국의 요구사항만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에 대해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아무리 협상을 잘해도 관세 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다"면서도 "무역불균형을 해소하되 상호이익이 되는 방안을 찾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하는 태도도 변수다. 각 무역국들과 관세 협상을 벌이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 장관은 지난달 27일 상호관세 유예기간 연장 가능성에 "협상이 노동절(9월 1일)까지 마무리될 수 있다"며 유예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30일에는 블룸버그TV에 출연해 "(유예 시한 연장은) 트럼프의 뜻에 달려 있다"며 "협상이 불발될 경우 높은 관세율에 직면할 수 있다"고 했다.트럼프 대통령도 지난달 27일 "상호관세를 연장할 수도, 더 줄일 수도 있다"고 했다가 이틀 뒤인 29일엔 "이번 각국별 관세율 서한 통보가 협상의 끝"이라며 추가 유예 없이 모든 국가에 관세율을 통보하겠다"고 했다. 또 1일(현지시간)에는 일본에 대해 기존에 책정한 상호관세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했다.당초 지난 4월 9일 상호관세 유예 전 일본에 대해 24%의 상호관세율을 책정해 발표한 바 있는데 이보다 높은 '30%나 35%'로 상향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유예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 많은 국가들에 서한을 쓸 것"이라고 했다.경제 전문가들은 미국이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 대미 수출이 더 줄고, 나아가 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15%의 추가 관세가 매겨지면 대미 수출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며 "현재는 경상수지가 받쳐주고 있어서 외환위기까지 가지는 않겠지만 성장률은 둔화되고 경기 침체가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남은 협상 기간 내에 미국과 잘 타협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는 대신 관세를 낮춰야 할 것"이라며 "다만, 미국이 볼 때 중국과 우리가 가까우면 협상이 잘 안될 수도 있기 때문에 중국과의 관계 설정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