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약품이 지속가능성 보고서 'ESG 리포트'의 여섯번째 최신판을 업데이트 했다고 8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혁신 기반의 지속가능 경영 모델을 집대성한 '2022-23 ESG 리포트'를 발간하고 자사 공식 홈
글로벌 신약이 최초 출시된 후 1년 이내 국내 도입되는 비율은 5%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평균인 18%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가 발
국내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 선두인 HK이노엔이 후발주자들의 공세를 방어할 차별화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HK이노엔의 '케이캡(테고프라잔)'의 1위 자리를 대웅제약이
상시 감염병 예방관리 차원에서 C형간염 검사가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될 전망이다. 이미 비용효과성도 충분하다는 결론이 난 상황이라 추진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질병관리청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3
웨어러블 로봇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로봇보행치료가 중추신경계 환자뿐 아니라 근골격 대수술 환자들로도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열렸다.8일 강남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재활의학과 박중현 교수팀이 '웨어러블 보행재활로봇을 활
대동맥판막 치환술은 65세 미만, 승모판막 치환술 70세 미만까지 조직판막이 아닌 기계판막이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준범 교수,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팀은 심장판막 치환술을
몸에 문신이나 피어싱이 있다면 C형간염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과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간암 환자 약 15%는 C형 간염이 원인이 되는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혈액이나 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8일부터 11일까지 독일에서 진행되는 유럽 혈액학회(EHA) 연례 학술대회를 통해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에피스클리'(성분명 : 에쿨리주맙)의 추가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고 8일 밝혔다.에피스클리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화이자와 다품종 의약품의 장기 위탁생산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앞서 양사는 지난 3월 1개 제품에 대한 위탁생산 계약을 처음으로 체결한 바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추
정부가 비대면진료 원칙이 재진 중심으로 이뤄진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30일 이내 방문했던 병원에서 할 수 있으며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1년 내에도 가능하다. 다만 초진은 제한적 조건 내에서 이뤄지며 환자가 의료기
미국 백세스 테크놀로지스가 GC녹십자와 공동 개발중인 패치형 인플루엔자 백신 'MIMIX-Flu'의 긍정적인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MIMIX-Flu'는 GC녹십자의 인플루엔자 백신 항
제약바이오 업계가 미국 자회사를 통한 직접 진출 전략에 공들이고 있다. 현지에서 임상 및 상업화를 진행함으로써 행정절차를 줄이고 성공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7일 업계에 따르면 동아에스티의 자회사 뉴로보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간호법과 관련 간호계는 준법투쟁의 수위를 높이며 업무범위 외 불법진료 문제를 고발하고 있다. 좀체 논란이 사그라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보건복지부 실장 직위해제가 결정돼 '복지부
한국바이오협회가 2023 미국 보스턴 바이오 전시회(BIO USA 2023)에서 6일(현지 시각) 주한 프랑스대사관과 공동 주관으로 'Korean & French Networking Session' 행사를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