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 패스워드 입력으로 확인 가능
주민번호 기반으로 운영된다는 한계 있어
주민번호 기반으로 운영된다는 한계 있어
우리나라 대부분의 웹사이트 회원가입 절차에는
본인확인을 위한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필수 조건이었다.
그러다 보니 해킹 등으로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정부는 이를 방지하고자
주민번호 수집 및 이용을 하지 않도록
정보통신망법을 개정했다.
올 상반기 부터
주민번호 수집 및 이용이
원칙적으로 금지됐으며
내년 8월 18일부터는
기 보유한 주민번호도 파기하도록 했다.
이에 주민번호 입력을 통한 본인확인을 대신해
현재 [공인인증서], [휴대폰 인증], [아이핀]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해 본인확인을 하는 방법이
바로 [아이핀]이다.
[아이핀]은 신원 확인 후
[본인확인기관]에서 발급 받아
본인확인이 필요한 곳에서
아이핀 아이디·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아이핀으로 본인인증을 하는 경우에는
웹사이트에 주민등록번호가 저장되지 않아
정보가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적다.
아이핀이 노출됐을 경우에는
폐지하고 다시 새로 발급받으면 된다.
아이핀 발급은
[서울신용 평가정보],
[나이스 신용평가정보],
[코리아 크레딧뷰로],
[공공 아이핀센터]에서 발급하고 있다.
이 중 공공 아이핀센터를 제외한 3개 인증기관은
민간에서 운영하는 본인확인기관이다.
공공 아이핀 센터는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의 웹사이트에서
본인확인을 위해 만들었다.
아이핀 발급은 [무료]이며
4개의 본인확인 기관이나
아이핀이 도입된 웹사이트에서
발급 신청을 할 수 있다.
아이핀은 포털 서비스와 게임 사이트,
은행, 증권, 보험, 신용카드 등의 금융회사,
온라인 포인트 서비스, 상품권 등록 서비스 등에 도입되고 있다.
아이핀을 발급 받으려면
본인확인기관에 제공할
[이름], [주민번호],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야 한다.
주민등록번호는 아이핀 신규발급 시
한 번만 입력하면 된다.
다음으로
아이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공인인증서],
[휴대폰 문자메시지],
[신용카드],
[대면확인] 중 한가지를 선택해
아이핀 발급을 위한 신원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공공아이핀]의 경우 신원확인 시
공인인증서,
주민등록확인시스템,
방문신청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아이핀이 발급되면
이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아이핀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기억하면 된다.
이후 아이핀을 사용할 때마다
가입시 입력한 본인 이메일을 통해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다.
◆ 아이핀은 주민번호 저장해…
아이핀 사용이 많은 웹사이트 이용에 있어
주민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은 있지만
아이핀 역시 주민번호를 기반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아이핀 사용으로 각 사이트에서
주민번호를 저장하지는 않지만
아이핀 발급 기관에 모든 주민번호가 한꺼번에 몰려
특정 서버에 저장되고
해당 기관이 해킹 당할 경우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아이핀 비밀번호 재 설정시
본인의 이메일을 통한 임시 비밀번호를 발급받는 경우
메일 계정이 해킹 당한 상태라면
아이핀 비밀번호가 노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진 = 한국인터넷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