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 충격 여파로 일본인 관광객 급감 [40% 이상 매출 뚝]
중국인 비자발급 조건 완화, [일본인 빈자리 채워줄까]


[명동 중저가 화장품 로드샵의 한산한 모습]

“이랏샤이마세(어서오세요)~! 
외치던 언니들 다 어디로 갔지? 썰~렁하네?”

7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명동거리 입구를 들어서 
화장품 로드숍 주변을 서성여보지만 
중저가 화장품 매장앞에 
화려한 복장으로 일본어 [이랏샤이마세]를 외치던 
알바생들의 모습이 자취를 감춰버렸다.

명동거리를 점령한 화장품 로드숍들은 그대로지만
1000미터가 넘나드는 거리의 약 70여개 매장에
일본관광객을 위주로 마케팅이 펼쳐지던
분주한 옛 모습은 분명 찾아보기 힘들었다.

명동에 중저가 화장품 매장이 유난히 즐비하고
심지어 같은 브랜드 매장이 많아도 망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외국인 손님 덕분이었다.

그 중 
일본인 관광객들로 인한 매출 증가가
[효자노릇]을 했었다는 게
각 매장 점원들의 공통된 목소리였다.

"최근 일본인들을 타깃으로 한 
호객도우미 아르바이트생 
모집이 크게 줄었다.

장기적인 경기 침체도 모자라 
[엔화 약세]라는 악재 때문에
일본 관광객이 크게 줄었고
이러한 상황이 바로 매출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 서울 중구 명동 A 화장품 매장 김성하(가명)씨


이렇듯 
중저가화장품 매장들은
과거 일본인 선호도가
높았던 까닭에 엔저 하락과 함께
이미 상당한 타격을 받은 눈치였다.

현재 
이 업계는
일본인 고객 이탈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할 시간조차 없이 엔화 가치가 급락한데다 
금융업계에서는 원-엔 환율이
연중 100엔당 960원 내외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
시장 경색이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에
불안에 떨고 있는 모습이다.

더욱이 최근 관광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일본인 관광객 수가 
253만명 가량을 기록,
지난 2009년 이후 4년만에 
최저 수치를 나타내면서 
일본인 관광객 특수가 불과 
4년만에 종지부를 찍는 형국이 아니냐는
일각의 부정적인 전망도 흘러나오고 있다.

명동에서 오랫동안 화장품 매장을 운영해온
B 브랜드의 한 점주는 이렇게 하소연했다.

"이 가게를 계속 유지시켜 나간다는 게 
사실 너무 버거운 상황이다.

작년 엔저가 시작된 초반에 
골목에 있던 A 매장과, C 매장도 
매출이 40%까지 감소해 폐점시키고 
다른 업종을 찾아갔다.

나도 이 가게를 
계속 운영해야할지 
진지하게 고민 중이다.

우리 매장은 현재 메인 거리에 자리잡아
위치도 좋은편이지만, 
눈에 띄게 줄어든 매출 때문에 
스트레스가 이만 저만이 아니다. 

게다가 화장품 브랜드숍들이 유난히 
모여있는 곳이라 
세일 경쟁도 치열하지만 
결국 출혈 경영으로 번져 
제살 깎아먹기 식으로
상황이 더 악화되는 것이다.

더 심각한 건 
외국인이 아닌 내국인 소비자들은 
큰폭으로 세일을 해도
제품의 질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보이는 바람에
판매하는 입장에서는 더 속이탄다."


그러나 
이 같은 분위기에도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 업계는 
일본인 관광객이 많이 줄었지만 
회사의 존폐를 이야기할만큼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2011년 엔고일 때만해도 
고객 비중이 
일본인 70%, 
중국인 20%,
기타 국가 외국인 10%
가량의 점유율을 나타냈지만
오히려 현재 1월 기준으로는
중국인 70%, 
일본인 20%, 
기타 국가 외국인이 10%를
차지하고 있다.

명동월드점을 기준으로
2012년까지만 해도 
외국인 고객 중
일본인 관광객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중국인 비자발급 조건 완화와 함께
중-일 관계 냉각 때문에
중국 관광객이 일본 대신 한국으로 유턴함으로써
방문 비중이 급속히 늘고
급감한 일본인 관광객 매출을 
대신해주는 추세에 놓여있다.

엔저 현상으로
일본인 고객 비중이 줄어든 건 사실이지만
K-POP 콘서트 등의 행사 기간에는 
매출이 소폭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 관광객들은 방문자수가 늘었을 뿐 아니라
객단가도 높아져 일본인 고객들의 빠진 부분을
점차 중국인이 지속적으로 채워줄 전망이다."

   - 네이처리퍼블릭 관계자 


"가격 대비 고가화장품과 비교해도
퀄리티는 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을 주기 위해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화장품은 
실제 제품원가에 비해
너무 비싼 가격으로 책정돼 있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는 박스포장을 없애 
사용설명서를 제품 뒤에 표기하는가 하면,
불필요한 지출을 최대한 억제하는 
비용구조 혁신을 추구한다.

화장품 내용물이 용기값보다 비싼 화장품을 만들어 
최근 국내 소비자 신뢰도가 부쩍 높아졌다."

   - 미샤 관계자 






  • 한편
    화장품 업계는
    현재 중저가 화장품브랜드 업체들이


    엔저 현상에 당황해
    단순히 일본 고객 이탈을 두려워하기 보다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대외 신뢰도를 회복시키고
    국내외 단골 손님을 확보
    더욱 집중하는 게 [근본적인 살 길]이라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