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접대비의 30% 차지…서비스업 1조4253억, 건설업 1조238억 뒤이어
  • ▲ 창원 국가산업단지 전경 ⓒ연합뉴스
    ▲ 창원 국가산업단지 전경 ⓒ연합뉴스

     

     

    제조업을 영위하는 업체들이 지난 한해 영업 활동을 위해 쓴 접대비가 3조원이 넘어 다른 분야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세청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박덕흠 의원(새누리당)에게 제출한 '2013년도 기업 접대비 지출 신고 금액'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기업접대비는 9조68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제조업 분야가 3조1233억원으로 전체 접대비의 30%를 차지했다. .

     

    제조업에 이어 도매업 1조7301억원, 서비스업 1조4253억원, 건설업 1조238억원 등이 1조원이 넘는 금액을 접대비로 사용했다.

     

    이 밖에 금융·보험업 7500억원, 운수·창고·통신업 4334억원, 부동산업 1802억원, 소매업 1747억원, 음식·숙박업 527억원, 보건업 455억원, 농·임·어업 286억원, 전기·가스·수도업 194억원, 광업 116억원, 기타 82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박덕흠 의원은 "접대비가 과도하게 늘다보면 국세청에서 정하고 있는 접대비 지출 한도를 넘길 수 있다"며 "그때는 단속을 피하기 위해 눈 속임식 신고가 있을 수 있는 만큼 국세청은 더욱 빈틈없이 살필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한편 접대비는 2004년 노무현 정권 때 건당 50만원 이상 지출하는 법인의 접대비에 대해 업무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는 지출 증빙을 기록·보관하도록 의무화하는 '접대비 실명제'가 시행됐다.

     

    이후 이명박 정부 때인 2009년 실효성이 적고 경제를 살린다는 명목으로 폐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