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는 조직개편 마치고 내일부터 '비상경영' 돌입CEO 미정사태 장기화 조짐으로 영업전선에도 '경고등'
  • ▲ 대우조선 노조가 31일 서울 다동 본사 앞에서 사장 선임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뉴데일리DB
    ▲ 대우조선 노조가 31일 서울 다동 본사 앞에서 사장 선임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뉴데일리DB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이 31일 서울 다동 대우조선 본사에서 열린 제1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후임 사장 인선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대주주인 산업은행 측은 이에 묵묵부답, 대우조선의 최고경영자(CEO) 미정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며 이 회사의 영업전선에도 경고등이 들어오는 모습이다.

    대우조선은 의결권 있는 주주의 63%(대리인 포함)가 참석한 이날 주총에서 재무제표 승인, 사내외 이사 및 감사 선임, 이사보수한도 승인 등 대부분 안건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일부 증권사 주주의 반대로 조전혁 전 국회의원을 감사위원으로 승인하는 안만 부결됐다. 사외이사이던 조 전 의원의 이사회 출석률이 75%에 미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주총 진행 중 현시한 노조위원장 등 대우조선 노조 관계자들의 사장 인선 촉구 및 인선 지연 이유를 따져 묻는 각종 발언들이 이어졌다.

    노조 관계자는 "지난 29일자로 3년 임기가 끝난 고재호 사장에 이어 후임 대표이사에 대한 선임건이 오늘 주총 안건으로 상정되어야 했지만 빠져있다"며 "대우조선 주식 31.5%의 지분으로 최대주주로서 대표이사 결정권을 가진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청와대와 정치권 눈치보기를 하며 오늘까지도 선임을 하지 않아 생긴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법률적 상황을 떠나 실질적 상황에서 대표이사 없이 회사를 운영한다는 것은 듣지도 보지도 못했다"며 "왜 선임을 늦춰 회사의 수주 및 생활동에 차질을 발생하게 하고, 주주들을 피해보게 하는 것인지 산업은행 측이 설명해달라"라고 말했다. 이에 주총에 참석한 산업은행 측 관계자는 "발언하지 않겠다"라고만 짧게 대답했다.

    이런 상황에 대우조선의 차기 사장 윤곽은 이르면 오는 5월에나 드러날 전망이다. 후임 사장을 선임하기 위해서는 임시 이사회 및 주총 등을 거쳐야하는데 이 절차만 적어도 2달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후임 사장으로는 내부 인사보다는 외부 인사가 선임될 것이 좀 더 유력하다. 대우조선은 최근 경영정상화를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하기로 했는데, 당초 하마평에 올라있던 고영렬 부사장, 박동혁 부사장이 이 과정에서 일선에서 물러나기로 확정됐기 때문이다. 또 다른 유력 후보로 차기 사장이 선임되기까지 임시대표를 맡는 고재호 현 사장이 연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나, 확률 자체는 희박하다는 것이 업계 시각이다.

    실제 노조 한 관계자는 "최근 국회 정무위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과 대화할 시간이 있었는데, 김 의원도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지만 외부인사가 선임될 가능성도 없잖아 있는 분위기로 안다라고 말하더라"라고 말했다.

    노조 측은 누구든 대우조선 내부 인원이 사장으로 선임되는 것에 대해 반대하지 않으나, 정치권 등 외부 낙하산 인사가 들어설 시 총력투쟁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노조 관계자는 "대우조선에 대한 문화, 환경, 사람들 뿐 아니라 조선소에 대해 모르는 사람을 마치 공기업 사장으로 내려보내듯 하는 낙하산식 선임 행위에 대해서는 총파업을 통새서라도 반드시 막아낼 것"이라며 "산업은행은 하루 빨리 사장을 선임해 5만 구성원들이 맘 편히 생산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노조가 사장 선임을 촉구하는 이유는 가뜩이나 어려운 조선시황 속에서 대우조선의 경영환경에도 적신호가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업계에서 유일하게 5년 연속 100억 달러 이상을 수주하던 대우조선은 사장 선임 이슈가 블거진 지난 달 중순부터 수주 실적이 전무한 상태다. 해외선사들로부터는 선박 건조작업이 지연되거나 차질을 빚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직접 전달받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 대우조선은 침체된 사내 분위기 쇄신, 해외선주들의 불신을 제거하는 차원에서 다음달 1일부로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다. 3총괄(사업, 생산, 기술) 1본부(특수선) 3실(전략기획, 인사지원, 재경)로 운영하던 조직을 1총괄(사업) 3본부(상선, 해양, 특수선) 3실로 재편한다. 함께 운영하던 선박사업과 해양사업을 분리한 것이 특징이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통합운영하던 상선과 해양사업을 별도 분리함으로써 각 부서별 사업집중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책임경영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