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인플레이션 현상, 세게경제의 구조적 변화서 기인한 것
  •                 



  • "최근 저인플레이션 현상은 수요·공급 등 경기적 요인 뿐 아니라 세계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기인한 것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조사통계 국제콘퍼런스 개회사에서 금융위기 후 과감한 완화 통화정책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이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이주열 총재는 "글로벌 수요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완만히 회복되고 있으나 여전히 잠재 생산 수준을 밑돌고 있으며,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이 공급 측면에서 물가수준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인구 고령화, 유통구조 혁신, 글로벌 경쟁심화 등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시키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는 인플레이션 동학(inflation dynamics)이 과거와 상당히 달라졌음을 시사한다"고 언급했다.

    이주열 총재는 이러한 상황에서 각국이 물가안정목표제 채택·금융완화 기조로 인한 부작용·인플레이션 하락으로 인한 구조적 문제 등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다.

    이주열 총재는 "다수의 국가가 물가안정목표제를 통화정책 운영체제로 채택하고 있는데 저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체제가 최선의 방안인지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주요국 중앙은행이 저인플레이션 상황에 대응해 금융완화 기조를 장기간 지속해 왔는데, 이로 인해 경제 내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지 살펴보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주열 총재는 "기업투자 등 실물경제에서의 위험추구 경향이 낮은 반면 금융 부문의 위험추구가 높아지면서, 경제 및 금융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지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인플레이션의 추세적 하락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는 인구고령화, 경제불균형 심화, 총요소생산성 둔화 등 구조적 문제에 대한 중앙은행의 대응 방안을 살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주열 총재는 "인구고령화는 노동 공급의 감소, 소비 성향 약화 등을 통해 물가상승압력을 완화시키고 통화정책의 파급경로를 변화시키고 있어 통화정책 수행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커졌다"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금융, 노동 부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구조개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