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검토 마무리·건설, 철강업계 관심 '쑥'…"연40조 경제효과-일자리 20만개"김성태 의원 등 20대 국회 '융합혁신경제포럼' 출범…"산업 간 융합 통해 위기를 기회로"
  • ▲ '해양 융합스마트 시티(인공섬)' 사업에 지휘봉을 잡은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비례대표). ⓒ뉴시스DB.
    ▲ '해양 융합스마트 시티(인공섬)' 사업에 지휘봉을 잡은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비례대표). ⓒ뉴시스DB.


    조선업이 사상 최대 위기에 내몰렸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조선업 구조조정 대책이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이른바 '빅3'에 집중되면서, 중소형 조선사와 조선 기자재 업체들까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무려 6만여명이 실업자로 전락할 전망이다.

    그럼에도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은 현재 반년 가까이 수주를 따내지 못했다. 전방산업인 해운업이 침체 일로를 걷는 가운데, 저유가가 지속되면서 선박 발주가 뜸한 탓이다.

    조선업이 흔들리면 철강산업이 위태로워진다. 그 여파로 자동차산업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다음 타자는 건설산업이다. 도미노 현상처럼 국가 기반 산업이 죄다 위축될 수 있다.

    하지만 위기는 기회와 함께 찾아온다. 20대 국회에서 '싱크탱크' 역할을 하겠다고 모인 여야 의원 23명이 최근 새로운 시장 개척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들이 찾아낸 조선업의 신성장 동력은 독도와 울릉도, 인천, 부산, 새만금 앞바다에 인공섬을 짓겠다는 것이다. 바다 위에 부유체 구조물을 띄운 뒤, 도시 기능을 갖춘 해양 건축물을 세우자는 주장이다.

    섬 내부엔 다양한 수상레저 시설을 비롯해 외국인 관광객들을 끌어모을 수 있는 카지노와 음식점, 면세점 등이 들어간다.

    이렇게 되면 연평균 40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와 일자리 20만개를 만들 수 있다. 한국의 랜드마크로 커질 경우, 인공섬 기술력을 세계로 수출할 수는 길도 열릴 것이라는 게 이들의 판단이다.

    이와 같은 청사진대로 된다면 더할 나위가 없어 보인다. 다행히 현재 진행 상황만 놓고 보면 뜬구름 잡는 얘기는 아니다.

    인공섬을 조성하려면 크게 해양과 조선, 건설, ICT 분야 기술력이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이들 분야에서 모두 세계 1위에 올라있다. 우리가 세계에서 인공섬을 가장 잘 만들 수 있는 국가라는 의미다.

    해양과 조선 기술을 활용하면 바다에 인공 지반을 깔 수 있다. 건설 기술로 단단하고 가벼운 시설물을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첨단 ICT 기술이 녹아들면 대형 인공섬을 마치 스마트홈처럼 제어할 수도 있다.

    인공섬에 들어가는 전력은 태양광이나 조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가 사용된다. 바다 위에 부유체를 띄우는 방식이어서 환경을 해칠 염려도 없다.

    기술적 검토는 대부분 마무리됐다. 부유체 설계에서 파도 감쇄 기술까지 이미 연구개발이 끝난 상황이다.

    벌써 인공섬에 눈독을 들이는 나라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몰디브를 비롯해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땅이 조금씩 가라앉고 있는 국가들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인공섬 건설에 뛰어들 국내기업들도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새 먹거리가 생기는 일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첫 번째 인공섬은 이르면 2~3년 완공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서 지휘자 역할을 맡은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비례대표)은 "현 정권 내 '해양 융합스마트 시티(인공섬)'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며 "산업 간 융합을 통한 국가 경제 부흥에 서둘러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최근 ICT 분야 연구단체 '융합혁신경제포럼'을 출범시켰다. 김 의원을 중심으로 오세정·김규환·김정훈·김종석·김종태·노웅래·박완수 등 여야 의원 23명이 속해있다.

    이들은 인공섬 사업으로 대표되는 '융합 스마트 뉴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 간 경계를 허물어 융합과 관련한 창조적 사업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조직을 손질하겠다는 게 이들의 1차 목표다.

    다만 인공섬 사업의 성패는 정책적 의지와 국민적 관심에 달렸다. 산업 간 융합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법도 마련돼야 한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건설·철강·조선·ICT 등 4개 산업의 융복합은 미래 먹거리로서 가치가 높을 수 있다"며 "하지만 인공섬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데다 발주나 수주가 아닌 개발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위험성은 클 수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