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수주 상황 따라 추가 인력감축 염두현대重 2년 만에 희망퇴직 접수삼성重 자금난 해소 위해 유상증자
  • ▲ STX조선해양이 지난 2월 그리스 판테온 선주사로부터 수주한 MR탱커선. ⓒSTX조선해양
    ▲ STX조선해양이 지난 2월 그리스 판테온 선주사로부터 수주한 MR탱커선. ⓒSTX조선해양

조선업계가 중소형 조선사들의 잇따른 법정관리행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STX조선해양의 법정관리 신청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조선 빅3로 분류되는 대형 조선사들도 적잖은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정부는 성동조선해양에 이어 STX조선까지 법정관리라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채권단의 지원에 기대 인력감축 등이 포함된 구조조정안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 ‘기업 청산’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로부터 약 5조8000억원을 지원 받은 대우조선해양은 가장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대우조선의 자구계획 이행률은 지난 2월 기준으로 47.4%다. 현대중공업 100.5%, 삼성중공업 71.1%와 비교할 때 가장 낮은 수준이다.

대우조선은 자구안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올해 3~4분기 구조조정을 염두에 두고 있다. 올해 수주 목표치의 약 30%를 1분기에 달성했지만, 지난 2016~2017년처럼 목표치를 달성하기 어려울 경우 희망퇴직 등을 단행할 수 있다는 것.

대우조선 관계자는 “올해 신규 수주 목표치 달성의 열쇠는 초대형컨테이너선”이라며 “LNG 운반선과 초대형원유운반선 등은 발주가 있지만 초대형컨테이너선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대우조선은 2020년까지 5조90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겠다는 자구안을 추진 중이다. 앞서 서울사무소와 자회사 디섹, 웰리브 등을 매각했다. 임직원도 3300여명 줄였다. 대우조선은 지난해까지의 자구계획 목표액인 2조7700억원을 모두 채웠다. 하지만 2020년까지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물적 자구안과 인적 자구안, 원가절감 등으로 구분해 각 시점에 맞춰 계획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자구안 이행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현대중공업은 고정비 감소를 위해 2년 만에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오는 16~29일 근속 10년 이상 사무직과 생산기술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한 것.

현대중공업은 지난 9일 강환구 사장과 각 사업 대표 명의로 담화문을 내고 회사의 경영상황을 전달했다. 일감이 많지 않아 유휴인력이 3000명 이상 발생해 희망퇴직을 불가피하게 실시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삼성중공업은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유상증자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하게 될 실탄은 1조4088억원이다. 이 자금은 올해 만기도래하는 차입금 상환과 운영자금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의 지난해 영업손실은 5242억원으로 전년 대비 256% 늘었다. 증권가는 삼성중공업이 올해 1분기에도 적자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과 보호무역주의 여파로 물동량이 감소돼 선박 발주가 위축되고 있다”며 “환율도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수출이 대부분인 국내 조선사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