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가계부채 제한 강화작년보다 대출 어려울 듯은행권, 대출 증가율 4%대 관리
  • ▲ 금감원 DB ⓒ 뉴데일리
    ▲ 금감원 DB ⓒ 뉴데일리
    금융당국의 가계 부채 관리 강화로 올해 대출 규모가 97조원 선으로 제한될 전망이다.

    대출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13조원 이상 줄어들어 가계 대출 받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강력한 총량 관리에 따라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율은 2020년보다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당국 속보치와 전망을 종합하면 작년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628조원대로 추정된다. 2020년 말 잔액보다 110조원(7.2%) 정도 늘어난 금액이다.

    작년 11월 금감원 속보치 기준 가계대출 증가액은 5조9000억원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율은 2020년보다 0.8%포인트(p)가량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에는 가계대출이 112조3천억원, 8.0% 증가했다.

    지난해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율을 5~6%대로 관리하려 했으나 전세대출을 총량 관리에서 제외하고, 집단대출을 계속 공급하는 등 '실수요' 대책을 시행하면서 증가율이 7%를 넘겼다.

    금감원이 집계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한국은행 가계신용동향 통계의 가계대출에서 한국장학재단과 연금기금 대출 등이 제외돼 130조원가량 차이가 난다.

    지난해 7월까지만 해도 가계대출 증가액이 월평균 11조원을 웃돌았으나 금융당국의 강력한 총량 관리가 시행된 8월 이후 증가 속도가 느려졌다.

    작년 말 가계대출 잔액과 금융당국의 올해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치 4~5%대를 고려하면 올해 공급량은 65조~97조원 선으로 추정된다.

    5.9%대 증가율까지 용인한다고 해도 지난해 증가액 110조원보다 13조원 정도 적다.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언론과의 신년 인터뷰 등에서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대체로 4%대에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KB와 신한이 4∼5%를, 하나·우리·농협은 4%대를 증가율 관리 목표치로 제시했다.

    금융당국은 올해는 작년처럼 총량 관리에 따라 대출 여력이 고갈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언급했다. 개인의 소득에 연동한 대출 규제가 강화되는 데다 기준금리도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부터 차주별(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강화돼 개인별 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하면 연간 원리금 합계가 연소득의 40%(비은행권에서는 50%)를 넘을 수 없다.

    7월부터는 총대출액 1억원 초과자로 규제가 확대된다. 작년 9월 말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대출자는 600만명에 이른다.

    다만 전세자금대출은 차주별 DSR 산출에 반영되지 않는 데다 지난 1년 새 전셋값이 크게 올라 계속 늘어날 수 있다. 은행이 작년처럼 보증금 증액분만 대출하는 제한 수단을 다시 꺼낼 수 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