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직원 퇴사율 삼성 2.4% vs TSMC 6.8%신입사원 '17.6%' 역대급 오명 쓴 TSMC..."연봉 높여도 소용없다"반도체업계 인재난 '글로벌 공통 이슈'... 성과보상·복지제도 개선 '경쟁'
  • 국내 반도체업계가 발전하기 위해 인재 확보가 최우선 과제로 꼽히며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대만의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이자 파운드리 글로벌 1위인 TSMC도 직원들의 높은 이직률로 고민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삼성의 평균 이직률이 2.4%인 반면 TSMC는 6.8%로 3배에 가까웠고 신입사원 퇴사율이 무려 17.6%에 달해 인재 확보 문제가 더 심각한 수준임이 드러났다.

    4일 삼성전자의 2022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전자의 퇴직률은 국내 사업장 기준 2.4%를 기록했다. 퇴직률은 평균 임직원 수 대비 해당 회계연도 동안 퇴직한 인원의 비율을 의미한다.

    삼성전자 해외법인에서 퇴직률은 국내보다 높았다. 지난해엔 퇴직률이 15.7%를 나타냈다. 해외 사업장에서의 고용 형태나 기간 등이 달라 국내 퇴직률과는 꽤나 차이를 보였다.

    지난 3년 간 삼성전자 국내 사업장 퇴직률은 2%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 2019년엔 2.5%, 2020년엔 2.1%로 집계됐다. 해외사업장 퇴직률은 지난 2019년 19.5%에 달했는데 이듬해인 2020년 18.1%로 줄었고 지난해엔 15% 수준까지 낮아졌다.

    삼성전자는 여전히 취업 준비생들이 입사를 원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히는 상황이다. 특히 글로벌 1위 반도체 기업이라는 위상 덕에 반도체 관련 전공자들이나 이공계 대학생들의 선호도가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반도체업계에선 인재 확보가 가장 어려운 과업으로 꼽힌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 패권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국내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로 인재 부족 문제가 제일 먼저 언급될 정도다. 업계에선 이 같은 인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반도체 전문 인력 양성 프로세스를 마련해야 한다는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반도체 분야에서 인재 구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국내만의 문제는 아니다. 오히려 해외에서 더 심각한 인재난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이 곳곳에서 감지된다.

    우리나라와 함께 반도체 산업을 국가 핵심 산업으로 두고 있는 대만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심각한 인재난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눈길을 끈다. 대만 반도체 산업을 선봉에서 이끌고 있는 파운드리 기업 TSMC가 삼성전자의 거의 3배에 달하는 퇴직률 문제로 고민이 깊다.

    TSMC의 2022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 회사의 이직률은 6.8%을 기록했다. 지난해 TSMC는 밀려드는 고객사들의 주문에 신규 직원을 전 세계에서 6만5000명 채용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1만 명 가까이 늘린 규모였다.

    하지만 동시에 신입사원의 퇴사율이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이직률을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직원의 이직률도 삼성에 비하면 높은 수준이었지만 입사 1년 미만 신입사원의 퇴사율은 지난해 무려 17.6%를 기록해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TSMC의 지난해 신입사원 퇴사율은 지난 2020년 기준 대만 기업의 평균 이직률(15%)을 훌쩍 넘긴 수준이다. TSMC는 내부적으로 연간 신입사원 퇴사율을 이 평균치인 15%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지만 1년도 안돼 회사를 떠나는 이들을 잡기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만 전문가 일부는 TSMC의 이 같은 신입사원 퇴사율이 앞으로 20%를 넘어설 정도로 더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국내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더 많은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임금 인상과 복지 확대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처럼 TSMC도 직원들의 보상 정책에 힘을 쏟으며 파격적인 임금 인상을 약속했다. 앞서 TSMC는 매년 3~5% 수준에서 급여를 인상해왔지만 인재난이 급속화된 올해부턴 기본급을 역대 최대 수준인 20% 인상한다고 밝혔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산업이 발전해가면서 인재 부족 현상은 만국 공통의 고민이 됐다"며 "점차 더 해외생산 체제가 확대되면서 인재 확보 문제는 물론이고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 임직원들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성과보상 체계를 갖추는 문제가 시급해졌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