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집회 인파에 안전사고 및 마찰 우려현장 노동자 부담… 쓰레기·화장실 이용 등주요 브랜드, 매장 운영 예의 주시… 대응 마련
  • ▲ 탄핵 의결이 진행 중인 지난 12월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탄핵을 촉구하는 촛불집회가 진행되고 있다. ⓒ서성진 기자
    ▲ 탄핵 의결이 진행 중인 지난 12월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탄핵을 촉구하는 촛불집회가 진행되고 있다. ⓒ서성진 기자
    ‘12.3 비상계엄’에서 시작된 대규모 탄핵 시위가 예고되면서 여의도와 광화문 광장 인근 등에 위치한 커피·프랜차이즈 매장 근무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2019년 이른바 ‘조국 사태’ 당시 주요 촛불시위 장소였던 서울 서초동 인근의 매장들이 말 그대로 초토화가 된 이력이 있기 때문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2월 7일 열렸던 1차 탄핵소추안 표결 당시 여의도 인근에는 주최 측 추산 100만명, 경찰 추산 150만명에 이르는 인원이 밀집했다. 이날 참여로 인한 매장 피해는 현재까지 발생하지 않았지만 근무자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평소와는 달리 대규모 인파가 몰리면서 안전사고 우려와 마찰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9년 조국 사태 당시 서초동 인근 매장에서 일했던 근무자들은 당시의 부침이 선명하다. 대규모 시위 인파에 대한 대응이 어려울 뿐더라 이 때문에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민원도 제기됐기 때문이다.

    당시 근무자였던 A씨는 “손님이 많아 줄이 길게 서있는 것은 물론이고 화장실도 이용객이 많아 손님들끼리 다툼도 있었다”면서 “집회 현장에서 먹은 음료와 도시락, 김밥 포장지 등을 매장에 버리는 경우도 많아 쓰레기가 (매장) 바닥에 굴러다니기 일쑤였다”고 말했다.

    이어 “평소의 대여섯배는 되는 손님들이 몰리다보니 청소 등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했는데, 매장이 지저분하다고 다수의 VOC(고객의 소리)를 통해 위생을 지적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브랜드 매장의 근무자였던 B씨는 “본사에서는 시위 참여자에게 화장실을 개방하라고 지시했는데, 건물주 측에서 기기 파손 등을 이유로 외부인 이용을 막으라고 강하게 요구했다”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격양된 시위 참가자분들에게 욕설을 듣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음주 상태로 오시는 분들끼리 다툼이 벌어져서 매뉴얼대로 112에 신고했지만 시위 때문에 바로 오기 힘들다는 답변을 받기도 했다”면서 “욕설과 고성이 오가 난장판이 됐었다”고 설명했다.
  • ▲ 12월 7일 이른바 '김건희 특별법' 부결에 시민들이 국민의힘 당사에 몰려든 모습ⓒ서성진 기자
    ▲ 12월 7일 이른바 '김건희 특별법' 부결에 시민들이 국민의힘 당사에 몰려든 모습ⓒ서성진 기자
    안전사고는 물론 브랜드 이미지 손상 우려도 있다. 실제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위 당시 광화문에 위치한 한 카페 브랜드는 안전사고를 우려해 평소보다 세 시간 문을 닫았다가 ‘촛불 시위를 반대한다’며 불매운동에 휩쓸리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오는 12월 14일 2차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주요 커피·프랜차이즈 브랜드 본사에서는 매장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불안전한 시국에서 작은 마찰이 브랜드 이미지에 큰 손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 근무자가 직접적인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C브랜드는 국민의힘 당사에 있는 매장의 경우 14일 당일 평소 대비 1시간 빨리 폐점한다. 또 비상상황에 대비한 대응에 나선다.

    C 브랜드 관계자는 “직원보호를 위해 경우에 따라 매장 내 경호요원을 배치할 수 있다”면서 “비상호출벨도 마련해 비상상황 시 경호요원이 즉각 출동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D 브랜드는 관계자는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하면서, 혹시나 모를 사태에 대비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E 브랜드 관계자는 “근무인력 추가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