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사 매출액대비 연구비 비중 평균 0.54% 불과현대·대우·현대ENG·DL 등 1년새 R&D 인건비 감축스마트기술 보유 5곳뿐…"미국·유럽社와 경쟁 벅차"
  • ▲ 국내 한 아파트공사현장. ⓒ뉴데일리DB
    ▲ 국내 한 아파트공사현장. ⓒ뉴데일리DB
    중국 딥시크 쇼크로 글로벌 AI경쟁에 불이 붙은 가운데 건설업계도 스마트건설 활성화를 위한 고군분투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건설경기 침체와 재무건전성 악화 여파로 R&D투자가 위축되면서 스마트건설 추진성과에 물음표가 붙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력 부족은 장기적으로 해외수주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전방위적인 만관협력과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건설사 매출액대비 연구비 비중은 0.54%에 머물러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연구비 비중이 1%이상인 곳은 삼성물산(1.19%), 현대건설(1.05%) 두곳뿐이다.

    10대사중 △현대엔지니어링(0.35%→0.25%) △GS건설(0.55%→0.54%) △DL이앤씨(0.95%→0.81%) △롯데건설(0.50%→0.46%) △SK에코플랜트(0.59%→0.52%) 등 5개사는 전년동기대비 연구비 비중이 줄었다.

    R&D 핵심인력 양성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연구개발비용 가운데 인건비 항목을 보면 현대건설은 2023년 3분기 478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 471억원으로 줄었다.

    같은기간 대우건설도 267억원에서 265억원, 현대엔지니어링은 215억원에서 183억원, DL이앤씨는 79억원에서 77억원으로 각각 감소했다.

    건설사 임직원 급여총액이 매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구인력 양성이 정체돼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 경우 인건비 항목을 별도 공시하지 않았지만 연구개발조직 규모가 2023년 3분기 8개그룹 138명에서 지난해 3분기 6개그룹 112명으로 축소됐다.
  • ▲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전경. ⓒ현대건설
    ▲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전경. ⓒ현대건설
    스마트건설기술 확보에도 속도가 붙지 않고 있다.

    스마트건설기술은 2019년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건설신기술 활성화 방안' 일환으로 도입됐다. 건설신기술중 △BIM △드론 △로봇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건설생산성 및 안전성을 높인 기술이 선별 지정된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통계를 보면 2020년 첫 도입 후 현재까지 지정된 스마트건설기술은 22건으로 매년 5~6건 지정되는데 그치고 있다.

    10대건설사중 스마트건설기술을 보유한 곳은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이앤씨 등 5개사뿐이다.

    삼성물산이 '모듈러 분절과 내부결합기술을 이용한 최고층 옥탑 설치공법', '출입구 유입 미세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카운터 플로우 기류 활용 에어샤워시스템 기술' 등 2건으로 가장 많고 그외 건설사들이 한건씩 보유중이다.

    스마트건설 투자 위축과 기술력 정체는 해외수주에도 타격이 될 수 있다.

    중동과 인도네시아 등을 중심으로 대규모 스마트시티 관련 프로젝트가 추진중인 가운데 해외발주처가 스마트건설기술을 필수로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서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사우디아라비아 네옴, 인도네시아 신수도 이전사업 등 대형사업 경우 스마트건설기술 보유여부가 수주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며 "다만 기술력만 놓고 보면 미국·유럽기업과 맞대결하기엔 벅찬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설사 자체적으로 R&D 투자를 늘리기엔 대내외적 시장환경이 좋지 않다"며 "기술개발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해줄 추가적인 민·관협력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규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생성형 AI 등 기초기술은 개발에 막대한 비용과 자원이 요구된다"며 "AI 등 스마트건설 기술을 자체개발하기보다는 기존 기술을 효과적으로 접목 및 응용하는 '브릿징(Bridging)'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