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5개국 중 미국 이어 두 번째 많아2016년 7.2%→2024년 3분기 19.5% 늘어코스닥 한계기업 비중, 코스피의 2배 상회
-
- ▲ ⓒ뉴데일리DB
실적 악화로 성장 한계에 부딪힌 상장사의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거시경제 위축, 내수 부진이 이어져 일명 ‘좀비기업’으로 불리는 기업 비중이 커지는 모습이다.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이 6일 발표한 주요국 상장사의 한계 기업 분석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기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19.5%로 나타났다. 이는 주요국(G5+한국) 중 미국(2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일명 좀비기업으로 불리는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통상 영업 활동으로 창출된 이익으로 이자 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해 더 이상 성장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다.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증가폭이 높았다. 한국 한계기업 비중은 2016년 7.2%에서 2024년 3분기 19.5%로 8년 간 12.3%포인트 증가했다.같은 기간 미국은 2016년 9.2%에서 2024년 3분기 25%로 15.8%포인트 증가했고, 영국 6.7%→ 13.6%, 프랑스 14.0%→19.4%, 일본 1.7%→4.0%, 독일 17.1%→18.7% 순으로 나타났다.특히 코스닥 상장사가 경기 불황에 더 큰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분기 코스닥의 한계 기업 비중은 23.7%로 코스피 기업 10.9%에 비해 12.8%포인트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코스피 한계 기업 비중은 2016년부터 2024년 3분기까지 2.5%p 증가(8.4%→10.9%)하는데 그친 반면, 코스닥은 같은 기간 17.1%포인트(6.6%→23.7%) 늘었다.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국내 기업들은 극심한 내수 부진과 트럼프 2.0에 따른 수출 불확실성으로 경영 압박이 크게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업들이 직면한 난관을 극복하고, 미래 글로벌경쟁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고,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 상법 개정 논의를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